외래 진료 주 52시간 이내로…개원의, 주 40시간 단축 진료 예고
최희선 보건의료노조 위원장 “중증∙외상 응급 환자 피해 커”
(시사저널=문경아 디지털팀 기자)
의대 정원을 둘러싼 의정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1일부터 의대 교수들이 진료 축소를 본격화한다. ⓒ연합뉴스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하는 의대 교수들이 외래 진료와 수술을 줄인다. 의료계는 장기화되는 의료공백으로 "분노에 가까운 상태"라며 의정 갈등 해결을 촉구했다.
1일부터 의대 교수들이 외래 진료를 주 52시간 이내로 줄인다. 동네병원 의사들도 주 40시간 단축 진료를 예고했다.
앞서 지난달 31일 서울대 의과대학 등 20개 의대 교수가 모인 전국의대교수비상대책위원회는 "4월1일부터 24시간 연속근무 후 익일 주간 업무 휴무를 원칙으로 하는데 동의했으며, 이 근무 조건에 맞춰서 중증∙응급환자 진료를 유지하기 위해 외래와 수술을 조정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도 지난달 25일부터 외래진료와 수술, 입원진료 근무 시간을 법정 근로시간인 주 52시간으로 축소했으며, 이날부터는 외래진료를 최소화해 중증∙응급 환자 치료에 주력하겠다는 방침이다.
개원의도 진료 축소에 점차 동참할 것으로 보인다. 김성근 신임 대한의사협회 비대위 언론홍보위원장은 "개인의도 주 40시간 진료 시간을 지키기로 결론을 내렸다"며 "의협 차원에서 참여를 강요하진 않으나 많은 회원들의 의견을 모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확산될 것"이라고 말했다.
의대 교수들의 잇따른 진료 축소에 의료공백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보건의료노조는 환자들의 불안감 심화를 우려하며 의정 갈등 해결을 촉구했다.
이날 최희선 보건의료노조 위원장은 KBS라디오 《전종철의 전격시사》에 출연해 "의료 현장의 더 많은 진료 파행이 예상된다"며 "현재 수술 건수는 40~50%정도 밖에 안되고, 입원환자 비율도 50% 미만으로 줄어 중증∙외상 응급 환자들이 가장 피해를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치료를 받아야 할 환자들이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기에 치료를 포기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며 "처음에는 좀 실망하고 빨리 해결되기를 바랐지만, 지금은 분노에 가까운 상태"라고 말했다.
정부의 군의관∙공중보건의 파견 방침에 대해선 "병원마다 시스템이 다르고 수술은 팀워크로 이뤄지기 때문에 사실 쉽지 않다"며 "현실적인 도움이 되고 있지 않다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정부와 의사협회 간의 강대강 대치가 대화의 장을 열지 못하기에 사회적 대화를 통해서라도 반드시 이 문제가 빨리 해결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전했다.
Copyright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