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합동조사단 이달 최종 결과
추가 정보 유출 확인 땐 책임론
과징금 최대 5300억원까지 가능
SKT 실제 부담 액수도 관건될 듯
해킹 사고로 고객 44만 여명 이탈
잃어버린 신뢰 되찾기 '숙제' 전망
SK텔레콤 신규 영업 재개를 하루 앞둔 23일 서울 시내 한 SK텔레콤 직영점에서 고객이 상담하고 있다. 뉴시스
유심 해킹 사고로 신규 영업 중단 행정지도를 받았던 SK텔레콤이 24일부터 새 고객 확보에 나선다. 50여 일 만의 재개지만 SKT가 마냥 웃을 수만은 없다. 잃어버린 고객의 신뢰를 되찾고 이달 말로 예정된 민관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 발표를 기다려봐야 한다. 영업 중지 족쇄가 풀렸을 뿐 더 큰 파도가 덮칠 수도 있다는 걱정도 나온다.
SK텔레콤 서울 을지로 사옥. SK텔레콤 제공
2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SKT에 부여한 신규 영업 중단을 24일부터 해제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SKT가 교체 수요 이상으로 유심 물량을 확보할 수 있고 새로운 예약 시스템이 시행되고 안정화돼 유심 부족과 관련해 SKT에 내린 행정 지도의 목적이 충족돼 신규 영업 중단을 해제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SKT에 신규 영업을 재개해도 기존 가입자의 유심 교체를 최우선 순위로 두고 조치할 것을 요구했다"고 덧붙였다.
SKT는 "그동안 유심 교체에 집중하던 전국 2,600여 개 T월드 매장에서 신규 영업이 가능하게 됐다"며 "전국 유통망과 협업해 신규 가입 고객들을 위한 서비스를 차질 없이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유심 물량을 충분히 확보했으며 최근 개편된 신청 사이트를 활용해 고객 희망 일정에 맞춰 교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과기정통부가 SKT의 신규 영업 중단 행정지도를 해제하면서 5월 1일 행정지도로 5월 5일 시작된 영업 중단은 24일부터 유심 이용 영업 재개가 이뤄지면서 51일 만에 마무리된다. SKT는 16일 이심 이용 신규 영업을 재개했지만 이를 지원하는 휴대폰이 제한적이며 수요도 적어 사실상 영업 중지가 계속되고 있는 것과 다름이 없었다.
최우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이 지난달 1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SKT 침해사고 관련 민관 합동 조사결과 2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스1
하지만 SKT는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달 중 나올 것으로 보이는 민관합동조사단의 최종 조사 결과가 분수령이다. 추가 정보 유출 등이 확인되면 SKT의 책임론이 나올 가능성도 있다. 과기정통부는 조사 결과에 따라 위약금 면제 여부에 대한 입장도 결정한다.
또 SKT가 내야 할 과징금 액수도 관건이다. 개인정보보호법은 개인정보를 유출한 사업자에게 '전체 매출액의 3%'를 과징금으로 부과할 수 있게 했다. 국내 통신사 정보 유출 중 최대 규모( 2,500만 건)였던 SKT 해킹이 지난해 매출액 17조9,406억 원의 3% 과징금을 내야 한다면 그 액수는 5,300억 원에 달할 전망이다.
잃어버린 소비자의 신뢰를 되찾는 것도 큰 산이다. SKT는 지난달 16일 고객신뢰위원회를 띄워 이를 다룬다고 밝혔다. 고객의 목소리를 충분히 담겠다고도 덧붙였다. 하지만 유심 해킹 사고 이후인 5월 한 달 동안 SKT에서 KT로 번호 이동한 가입자가 19만여 명에 달하고 LG유플러스로도 15만여 명이 빠져나가는 등 알뜰폰으로 이동한 가입자까지 포함 전년 동기 대비 3.3배에 달하는 총 44만여 명의 고객이 이탈한 것으로 미뤄 볼 때 고객이 SKT에 가지고 있는 불신은 여전한 것으로 보인다는 지적이다.
김진욱 기자 kimjinuk@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