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열린 출연연 AI 연구개발 세미나 주요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NST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는 14일 세종국책연구단지에서 ‘출연연 AI 연구개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원자력연구원 등 주요 정부출연연구기관을 비롯해 무역정보통신, 법률, 민간 기술기업 전문가 등이 참석해 AI 분야 현황과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출연연 AI 연구개발 현황과 국가기여 발전방향’을 주제로 발표한 ETRI 시각지능연구실 이용주 실장은 “AI반도체, AI-Powered 휴머노이드, AI 안전 등 AI 관련 산업의 집약을 통한 선순환”을 제언했다.
그는 “출연연 AI 연구개발과 관련된 인재정책, 아낌없는 투자, 출연연 칸막이를 없애는 과감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제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AI·계산과학실장은 “연구몰입환경 조성은 연구 업무를 둘러싼 부가적인 행정업무를 제거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한다”며 “최근 발달하고 있는 언어 모델들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참석자들은 출연연 AI 연구개발의 국가기여 발전방향을 다양한 측면에서 제안했다.
김익재 KIST AI·로봇연구소장은 “최근 인공지능 연구는 단일 알고리즘 개발을 넘어서, 파운데이션 모델 중심의 대규모 융합 연구로 패러다임이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며 “정부는 전문가 집단 기반의 협업 구조를 갖춘 출연연 중심의 대규모 AI 연구개발 체계를 전략적으로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경하 KISTI 초거대AI연구센터장은 “출연연의 장점은 대학이 하기 어려운 규모가 큰 연구를 공익성을 가지고 추진할 수 있다는 것”이라며 “이러한 장점을 살려 AI 연구개발의 가속화를 위해 연구장비, 시설 및 데이터의 공개 및 공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용균 원자력연 인공지능응용연구실장은 “지금과 같이 각자의 분야에 단순한 도구로 AI를 활용한다면 낮은 수준의 AI활용에 머물 수밖에 없다”며 “AI를 중심으로 각 출연연간 기관의 벽을 허물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임윤철 기술과가치 대표는 “출연연 각자의 AI 개발도 필요하지만 출연연과 출연연을 연계하는 AI 개발에 정부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식 NST 이사장은 “AI는 국가 미래를 좌우할 전략기술인 만큼, 출연연이 핵심 주체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전방위적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