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와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1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이공계 위기 시대 과학기술 인재 양성 해법'을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조인철 의원실
과학기술 전문가들이 해외 인재 유입과 정착을 돕는 중장기 로드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회와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1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이공계 위기 시대 과학기술 인재 양성 해법’을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는 조인철 의원(더불어민주당)과 최형두·최수진 의원(국민의힘)이 함께 주최했다.
토론회에서는 저출산, 고령화 사회와 의대 선호, 이공계 기피 등이 겹치면서 이공계 인력의 질과 양이 모두 부족하다는 문제제기가 나왔다. 학령 인구 감소로 2040년쯤에는 상위 20개 대학을 제외하면 이공계 대학원생 충원도 쉽지 않다는 자조섞인 지적도 이어졌다. 특히 지역과 중소 대학원의 상황이 심각하다.
박기범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선임연구위원과 김영오 서울대 공과대학장은 각각 ‘과학기술 인재 위기 시대의 대학 R&D 혁신 방안’과 ‘대학 현장에서 본 이공계 인재 위기와 미래 양성 방향’을 주제로 발제를 했다. 박기범 선임연구위원은 대학원 특성화를 해법을 제시했다. 박 선임연구위원은 “인구 감소와 학령인구 급감 시대에는 양적 확대가 아니라 질적 수준의 제고가 중요하다”며 “대학원별로 학문, 연구, 실무 중심으로 역할과 기능을 차별화하고, 대학과 대학원을 특성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오 서울대 공과대학장은 인력의 양적 확대보다 탁월한 인재 양성이 핵심이라는 데 공감하면서 소수 정예의 AI 전문 인력 양성을 주도하는 연구기관을 설립하자고 제안했다. 김 학장은 “수월, 융합, 창의 인재 양성이 핵심”이라며 “1학년부터 연구에 참여할 수 있는 초우수 학부 연구생 프로그램과 해외 우수 인재 유치 등 다양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토론에서도 여러 대안이 제시됐다. 유재준 서울대 자연과학대학장은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기초과학에 대한 생태계 조성과 장기적인 투자가 뒤따라야 한다고 밝혔다. 문승현 전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은 지역 인재 육성을 위한 별도의 지원 방안과 대책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출연연구기관 출신 창업가인 김용삼 진코어 대표는 대기업 중심의 기존 성장 전략 대신 스타트업과 벤처가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벤처 기업이 성장하려면 돈과 사람이 필요한데, 그런 부분에서 지원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국회는 이날 나온 전문가들의 제안을 바탕으로 연구환경을 개선하고, 해외인재 유입을 돕는 중장기적인 로드맵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조인철 의원은 “해외 인재의 유입·정착·성장까지 아우르는 중장기 로드맵이 필요한 것은 물론, 국내연구 커뮤니티의 매력도를 높이는 차원으로 법의 일관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창업자 존중과 실패해도 관용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