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북한을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을 체결하며 관계를 더욱 강화했다. /사진=뉴스1
러시아 외무차관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을 예고했다.
27일(현지시간) 러시아 타스, 리아노보스티 통신에 따르면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차관은 이날 '러시아와 인도-양국 관계를 위한 새로운 의제를 위해' 콘퍼런스에 참석해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인 방문 시기는 언급하지 않았다.
그는 "우리는 언제나 모두와 방문 교환에 대해 협상한다. 우리는 늘 준비한다"면서 "나는 말 그대로 2주 전에 북한에 있었고 다른 문제들과 함께 이 문제를 논의했다"고 말했다.
앞서 러시아 외무부는 루덴코 차관이 지난 15일 북한을 방문해 최선희 북한 외무상 등과 만나 '최고위급 접촉' 등을 논의했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 21일에는 푸틴 대통령의 측근인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가 북한에서 김 위원장을 직접 만나 푸틴 대통령의 메시지를 전달했고, 당시 북러 정상회담 시기가 조율됐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루덴코 차관은 또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의 올해 평양 방문도 준비되고 있다"면서 "북한 친구들과 전략적 대화를 계속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방문 시기는 공개하지 않았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 /사진=AP
그는 "이 대화는 최선희 외무상이 지난해 11월 모스크바를 방문했을 때 시작됐다. 우리는 이 전통을 이어가야 하고 올해는 라브로프의 차례"라면서 "이 계획은 크다. 우리는 이를 실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2019년과 2023년 두 차례 러시아를 방문했지만, 러시아 수도인 모스크바를 방문한 적은 없다. 모두 극동지역에서 푸틴 대통령과 만났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6월 북한을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모스크바에 방문해 달라는 초대를 받았다.
러시아는 2022년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 이후 북한과 밀착하고 있다. 북한이 러시아에 무기와 병력을 제공한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지난해 푸틴 대통령의 방북 기간에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을 체결하며 관계를 더욱 강화했다.
김 위원장이 올해 러시아를 방문할 경우 2023년 러시아 극동, 2024년 평양을 이어 3년 연속 북러 정상회담이 성사된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