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체제 공고히 하면서 대권 도전 나설 듯"
뉴시스
4·10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압승을 거두면서 이재명 대표의 향후 정치적 행보에 '파란불'이 켜졌다.
대선 패배의 오점을 뒤로 하고 자신이 진두지휘한 선거에서 크게 승리함으로써 대권 재도전에 필요한 발판을 확실하게 마련한 것이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 대표는 2022년 3월 대선에서 패한 뒤 같은 해 8월 전당대회를 통해 당권을 잡았으나, 당 안팎으로 적잖은 리스크에 발목이 잡혀 있었던 게 사실이다.
대장동·성남FC·백현동 관련 재판 등 '사법 리스크'가 상존했고, 친문(친문재인)계를 비롯한 비명(비이재명)계의 견제도 적지 않았다.
총선을 앞두고는 대선후보 경선 경쟁자였던 이낙연 전 대표가 탈당하는 등 리더십에 상처를 입기도 했다.
공천 과정에서는 '친명(친이재명)횡재, 비명횡사' 논란이 거셌지만, 결국 선거에서 이기며 당을 '친명 체제'로 바꾸는데 사실상 마침표를 찍었다.
비주류로서 대선에 출마하고 당권을 잡았지만 당을 완전히 장악하지는 못했던 그가 이번 총선을 기점으로 당의 체질을 '이재명당'으로 바꿔놓는 데 성공한 셈이다. 이에 따라 오는 8월 전당대회에서 다시금 친명 지도부가 들어선다면 3년 뒤 대권 도전까지는 큰 장애물은 없다고 봐도 된다는 게 당 안팎의 시각이다.
다만 이처럼 대권 가도의 내부 리스크는 사실상 완전히 정리했지만, '사법 리스크'라는 외부 변수는 아직 남아 있는 상황이다. 이 대표가 향후 대권 재도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당내 통합에 공을 들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뉴시스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향후 이 대표가 이번 총선 승리를 발판으로 당권 장악과 함께 대권까지 가는 길이 열렸다고 평가했다.
최홍태 리얼미터 선임연구원은 통화에서 "민주당이 180석 이상을 확보하게 되면서 이 대표를 당내 지지가 확인됐다. 사법리스크를 상쇄시켜줄 수 있는 요인이 잘 마련됐다"며 "이 대표의 대권 행보까지 앞으로 큰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친명계 의원들이 대거 국회로 입성하면서 이재명 대표 체제가 더 공고화됐다"며 "1인 체제를 공고히 하면서 대권 도전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