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실에 방치된 고양이/사진=비글구조네트워크
국내 농장에서만 1억 마리의 동물들이 살아가고 있다. 동물들이 직접 정치에 참여하지 않음에도 동물을 위한 정책이 필요한 이유다.
동물자유연대가 총선 지역구 후보자 699명의 공약을 조사한 결과, 약 35.8%(250명)가 동물복지 관련 공약을 제시한 것으로 확인됐다.
동물복지 공약을 제시한 후보자들의 소속정당은 ▲더불어민주당 115명(46%) ▲국민의힘 102명(40.8%) ▲새로운미래 8명(3.2%) ▲무소속 8명(3.2%) ▲녹색정의당 7명(2.8%) ▲개혁신당 7명(2.8%) ▲진보당 2명(0.8%) ▲우리공화당 1명(0.4%) 순으로 많았다.
250명 후보들이 제시한 동물복지공약 404개를 각각 동물복지·권리 일반, 반려동물, 농장동물, 전시동물, 실험동물, 야생동물 등으로 분류한 결과, 이 중 347개(85.9%)가 반려동물 관련인 것으로 확인됐다. 동물복지·권리 일반은 44건(10.9%), 농장동물은 4건(1%), 실험동물은 3건(0.7%), 야생동물은 3건(0.7%)에 불과했다.
반려동물 정책은 ▲반려동물 편의시설·축제 ▲수의료 서비스 강화와 펫보험 활성화 ▲유실·유기동물 관리 강화 등이 주를 이뤘다. 이 밖에도 ▲반려동물 돌봄 서비스 강화 ▲반려동물 장례 지원 ▲동물생산·판매업 규제 등의 공약이 제시됐다. 동물복지·권리 일반에 관련해서는 ▲동물복지법 제정 ▲동물을 ‘물건’으로 규정하는 민법 개정 ▲동물학대자 사육권 제한 등 동물학대 예방책이 주로 제시됐다. 농장동물과 실험동물 분야에서는 ▲동물복지 축산농장 지원 ▲동물대체시험법 활성화 등이 언급됐다.
동물자유연대는 “이전 총선보다 많은 후보자가 동물복지 공약을 제시한 것은 환영할 만하지만, 대부분 공약이 반려동물에 관한 내용인데다가 반려동물 편의시설을 확충하겠다는 게 주여서 아쉽다”며 “인간을 위해 희생되는 농장동물과 실험동물의 처우를 개선하기 위한 고민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