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과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의 회동이 서로의 입장차만 확인한 채 끝났지만, 정부는 “대화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전공의를 대신해 대한의사협회(의협)가 대화 테이블에 나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윤석열 대통령(왼쪽),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 연합뉴스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5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에서 “다양한 접촉 노력과 만남을 이어가고 있다”며 의사 단체와의 대화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박 차관은 “상호 간에 공개하지 않기로 협의돼있기 때문에 추가로 상세하게 말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2000명’이라는 증원 규모에는 변함이 없다는 입장이다. 박 차관은 “지금은 대안이 제시되지 않은 상태이고, 2000명 증원에 대해 정부가 정책 결정을 내린 사항이기 때문에 특별한 변경 사유가 있기 전까지는 기존 방침은 그대로 유효하다”고 말했다. 전날 회동에 대해서는 “첫 만남이었고 첫 술에 배부를 수는 없다”면서 “정부는 진정성을 가지고 대화 노력을 지속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의협도 회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김성근 의협 비대위 언론홍보위원장은 통화에서 “한번의 만남으로 모든 게 해결되지는 않는다”며 “일단 대통령에게 직접 의견을 전달한 것만 해도 의미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애초 무언가를 결정하는 자리는 아니었고, 서로 입장을 들어보고 확인하는 자리였다. 결정을 기대하는 것 자체가 무리였다”고 부연했다.
박 비대위원장이 회동 후 “미래는 없다”고 밝히면서 의·정 갈등이 다시 교착 국면에 놓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지만, 김 위원장은 “대화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문제를 해결하려면 일단 만남이 이어져야 한다. 안 만나면 해결이 안 된다는 거고 파국이 되는 것”이라며 “다음에는 의협 비대위가 (정부를) 만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의협 비대위가 정부를 만나 해결책을 논의할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다.
의협 비대위는 7일 ‘제7차 의협 비대위 회의’를 열고 이번 회동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회의에는 박 비대위원장도 참석한다.
조희연 기자 choh@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