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 尹-전공의 성과없는 대화 비판
“정부, 경청 말고 해법 내놔야…총선용 이벤트 불과”
“전공의들, 국민 신뢰 얻어야 의료 미래 있어”
(시사저널=강윤서 기자)
윤석열 대통령과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 ⓒ연합뉴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이 윤석열 대통령과 전공의 대표의 면담에 대해 "정부는 무능하고 전공의는 무책임하다"며 "진료 정상화의 물꼬가 트이길 기대했지만 아무 성과 없이 끝났다"고 비판했다.
5일 보건의료노조는 윤 대통령과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의 전날 회동을 두고 "국민생명을 볼모로 한 치킨게임을 중단하고 해법을 내놓아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정부는 경청할 때가 아니라 해법을 제시해야 하며 전공의는 대한민국 의료의 미래를 위해 국민생명부터 살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윤 대통령과 박 위원장 모두에 실망감을 표했다.
노조는 "국민은 이번 면담을 통해 조속한 진료 정상화를 이끌어낼 대통령 지도력을 기대했다"면서 "그러나 강 대 강 대치를 끝낼 국면 전환용 카드가 없었다"고 비난했다. 이어 "전공의 입장을 경청한 뒤 입장을 존중하기로 한 게 면담 내용의 전부"라면서 "중증·응급의료체계가 붕괴해 환자들이 죽음으로 내몰린 비상의료 상황에서 대통령으로서 너무 무능하고 안일한 태도"라고 힐난했다.
그러면서 "총선을 앞두고 해법 제시도 없이 대화의 모양새만 취했다면 환자생명을 볼모로 한 득표용 이벤트였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다"고 직격했다.
전공의들의 '무책임한 태도'도 비판했다. 노조는 "대한민국 의료의 미래는 전공의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라며 "의료의 중심은 환자생명"이라고 했다. 이어 "전공의들 스스로 수술실·응급실·중환자실·분만실·신생아실 등 환자생명과 직결된 필수진료를 내팽개친 집단 진료거부 사태를 반성하고 중단하지 않는다면 대한민국 의료의 미래는 없다"며 "개인적 선택이나 직업선택의 자유 등으로 변명할 문제가 아니"라고 질책했다.
전공의들의 빠른 의료현장 복귀도 촉구했다. 노조는 "환자생명을 볼모로 정부 정책을 백지화시키겠다며 진료공백을 장기화하는 것을 중단하라"며 "의사들이 국민의 지지와 신뢰를 얻지 못하면 대한민국 의료의 미래는 파산"이라고 꼬집었다.
아울러 의정 갈등 장기화로 인한 국민의 피로감이 증폭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노조는 "국민들은 진료 정상화를 위한 극적 타결을 피가 마르게 기대하고 있다"며 "의사 증원과 의료개혁을 위한 대화가 시작된 만큼 정부와 의사단체들은 대화를 이어가 조속한 진료 정상화를 최우선 목표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국민의 인내심에도 한계가 있고 폭발 직전이라는 것을 명심하라"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4일 윤 대통령과 박 위원장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140분간 비공개 면담을 가졌다. 전공의들이 집단사직한 지 45일 만에 이뤄진 만남이지만 면담 이후 양측은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대통령실은 '향후 의사 증원을 포함한 의료개혁에 관해 의료계와 논의 시 전공의들의 입장을 존중하기로 했다'는 입장을 밝혔다. 반면 박 위원장은 면담 이후 자신의 페이스북에 "대한민국 의료의 미래는 없습니다"라는 짧은 글을 남겼다.
Copyright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