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
마지막 키워드, '납치됐어요'입니다.
'납치됐다'는 자녀의 전화를 받는다면 어떻게든 구해야겠다는 생각밖에 안 들겠죠.
이런 심리를 이용한 보이스피싱 범죄가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지난달 26일 서울 용산의 한 지구대.
백발 노인이 다급하게 들어옵니다.
경찰관이 물을 건네며 진정시키고 자초지종을 묻습니다.
그러자 노인은 "납치당했다는 딸 전화를 받았다"며, "보증을 잘못 서 당장 2천7백만 원이 필요하다고 했다"고 말합니다.
울먹이는 딸의 목소리에, 노인은 급한 대로 현금 5백만 원을 찾아 충남 당진에서 서울까지 한달음에 온 거였습니다.
경찰은 바로 보이스피싱 사기를 의심했습니다.
하지만 노인의 휴대전화에 악성 앱이 설치돼서 전화가 되질 않았는데요.
경찰관들이 결국, 딸을 만나러 직접 출동했고, 잠시 후 지구대로 찾아온 딸이 아버지를 끌어안으며 안심시켰습니다.
지난해 보이스피싱 피해 금액은 천9백억 원이 넘고, 이 가운데 가족이나 지인인 척 속인 경우가 3분의 1가량 됩니다.
지금까지 잇슈키워드였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