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문화재보호구역 현상변경안
"철새 대체서식지 등 보완 필요"
2029년 완공 계획 차질 가능성
서부산권의 극심한 교통난을 해소할 핵심 시설인 부산 대저대교(강서구 식만동~사상구 삼락동 사상공단) 건설 사업이 문화재청의 승인을 받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부산시는 무려 7년 동안 답보 상태였던 대저대교 건설사업을 올해 6월 착공하고자 조작 논란에 휩싸였던 환경영향평가를 재실시했지만 철새의 대체서식지 확보 등에서 문화재청의 심의를 통과하지 못하면서 시의 행정력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거세다.
국제신문 취재 결과 문화재청은 최근 천연기념물분과 문화재위원회에서 부산시가 제출한 식만~사상 간(대저대교) 도로 공사의 문화재보호구역 현상 변경 신청안을 부결한 것으로 2일 파악됐다. 대저대교 노선이 철새도래지 문화재보호구역 보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게 부결 이유였다. 시는 2029년까지 총사업비 3956억 원을 투입해 강서구 식만동에서 사상구 삼락동 사상공단을 잇는 길이 8.24㎞ 왕복 4차로 규모의 대저대교 건설을 추진했다. 낙동강 횡단 교량을 추가해 서부산권과 도심을 오가는 교통 수요를 분산하기 위해서다.
시가 환경영향평가서의 거짓·부실 논란 등으로 지난 7년 동안 이 사업 추진에 아무런 진척을 보이지 못하면서 낙동강 교량 횡단 때 극심한 교통난을 겪는 서부산권 주민과 출퇴근 시민에게 원성을 샀다. 이에 시는 지난 1월 환경영향평가 통과 이후 착공 시기까지 못박아 대저대교 건설에 박차를 가했다. 교량 구조물 높이를 48m에서 24m로 대폭 낮추고 뾰족한 탑 모양 대신 일반 평면교로 형태를 바꿔 생태계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했고, 고니류 등 철새 서식지 보강을 위해 삼락·대저생태공원에 각각 25만 ㎡, 74만 ㎡ 규모의 대체서식지 조성 계획을 추가해 환경영향평가를 최종 통과했다는 게 시의 설명이었다.
하지만 문화재청은 대저대교 건설을 위해서는 철새 대체서식지 보강 등 문화재 보호구역 보전 방안을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대저대교 노선을 놓고 진행하는 현상 변경 심의는 처음으로, 대체서식지 마련 등 환경보전 방안을 확충해야 한다는 위원회 심의 의견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시는 다음 주 문화재청과 추가 협의에 나서 예정대로 대저대교 건설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보였지만 사업 추진에 또다시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은 크다. 올해 안으로 착공을 하지 못하면 시가 목표로 하는 2029년 준공은 힘들다는 게 중론이다. 시 관계자는 “10분 PPT 발표로는 수년에 걸쳐 보완한 철새서식지 보호 대책을 전달하는 데 충분하지 않았다”며 “보존 계획을 면밀히 설명하고 문화재청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해 사업 추진에 차질을 빚지 않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앞서 강서구 생곡동과 명지동 에코델타시티를 잇는 장낙대교 건설 사업도 자연유산 보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이유로 지난달 문화재청 현상 변경 승인에 실패(국제신문 지난달 26일 자 11면 보도)했다. 낙동강하구지키기전국시민행동 박중록 집행위원장은 “철새도래지 보호구역의 중요성을 정확히 인식한 문화재청의 판단을 존중하고 환영한다. 시는 세계인의 이목을 끄는 낙동강 하구를 망치는 사업을 벌일 것이 아니라 미래 유산을 보호하는 데 매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저대교 위치도. 국제신문DB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