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욱 감독. 연합뉴스 제공
박찬욱 감독의 차기작은 ‘소년이 온다’가 될 수 있을까.
세계적인 감독으로 손꼽히는 박찬욱 감독이 20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서울국제도서전에 참석해 “한강 작가의 ‘소년이 온다’를 영화로 만들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첫 챕터만 읽어봤을 때도 너무 잘 썼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말 이건 걸작이구나’라고 생각했다”고 고백했다.
박찬욱 감독은 그동안 자신의 연출작 ‘공동경비구역 JSA’(2000)을 비롯해 ‘올드 보이’(2003), ‘박쥐’(2009), ‘아가씨’(2016), 그리고 올 추석 개봉 예정인 ‘어쩔 수가 없다’(2025)까지 원작 소설이나 만화를 각색한 영화로 대중의 큰 사랑을 받았다.
그는 “아직도 만들고 싶은 문학 작품이 많다. 아직은 막연한 희망 같은 것” 면서 박경리의 ‘토지’, 이문구의 ‘관촌수필’, 신경숙의 ‘외딴 방’, 김훈의 ‘칼의 노래’ 등 을 영화로 만들고 싶다는 욕심을 내비쳤다.
박 감독은 “김훈 선생의 문체를 (영화적으로) 흉내 내고 싶다. 엄격하고, 단정하고, 건조하며 감상이 끼어들 틈이 없는 그런 스타일을 재현해 보고 싶다”면서도 “다만 투자받기는 어려울 것 같다”며 웃어보였다.
어릴 적부터 문학작품에 관심이 컸다는 그는 “‘최애 작가’인 존 르 카레의 ‘추운 나라에서 돌아온 스파이’를 읽고 전율했고, 에밀 졸라의 객관적이고 엄정한 문장을 읽고 감탄했다”고 했다. 또 최근에는 사진과 소설이 어우러진 W.G. 제발트의 ‘아우스터리츠’를 읽고 기묘한 감흥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책에 등장하는 캐릭터, 사건, 묘사 등이 다양한 방식으로 영감을 준다”면서 “원작이 있으면 한결 마음이 편하다. 책은 나의 ‘믿을 구석’”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는 원작을 들고 영화를 찍는 걸 여행에 비유하며 “식당이나 호텔을 예약하고, 어디에 갈지 동선도 미리 다 짜 놓은 채 시작하는 여행이다. 그러나 미리 계획했다고 해도 여행의 향방을 예측할 수 없듯이 원작을 들고 영화를 찍어도 그 결과를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강주일 기자 joo1020@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