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청, 차세대발사체 개발사업 브라운백 미팅
브라운백 미팅에서 발표하는 박재성 우주청 우주수송부문장 [촬영 조승한]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우주항공청이 2035년까지 재사용발사체를 개발해 우주산업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우주청은 20일 서울 용산구 서울비즈센터에서 차세대발사체 개발사업에 대한 브라운백 미팅을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사업 변경안을 소개했다.
우주청에 따르면 스페이스X의 재사용 발사체 성공으로 우주수송 비용이 줄면서 전 세계가 재사용발사체 상용화에 나서는 상황이다.
중국은 민간기업들이 2026년 상용화를 목표로 재사용발사체 기술 실증을 진행하고 있고 유럽과 러시아, 일본, 인도 등 자체 발사체를 갖춘 국가들도 재사용발사체 개발을 추진중이다.
박재성 우주청 우주수송부문장은 "모든 나라들이 2030년대 전후를 목표로 재사용발사체를 개발하고 있기 때문에 2032년 개발하면 경쟁에 뛰어들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항공기 완제품 시장처럼 시기를 놓치는 경우 우주산업 진입장벽이 굳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주청이 최근 재사용발사체 전환을 선언하고 적정성 재검토를 받는 차세대발사체 개발사업도 이런 대응의 일환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박순영 우주청 재사용발사체프로그램장은 사업 개편을 위해 재사용 체계 별도 개발, 조기 재사용화 개발 등이 논의됐으며 편익 분석 등을 통해 조기 재사용으로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조기 재사용화 개발을 통해 2032년부터 2034년까지 연간 2회 발사, 이후로는 3기 발사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며 "차세대발사체를 조기 재사용할 경우 2034년부터 우주수송 수요를 상당 부분 감안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차세대발사체 개발 계획이 변경되면서 첫 시험호기 발사는 2030년에서 2031년 말로 미뤄지지만, 2차와 3차 발사는 2032년 진행해 당초 목표인 2032년 달 착륙선 발사를 달성하겠다고 그는 설명했다.
이와 동시에 재사용 실증을 위해 1단 엔진을 활용한 호핑 테스트도 2032년 수행한다는 계획이다.
3차 발사까지는 달 착륙선 수송이 목표인 만큼 일회성 발사로 진행되지만, 이후 차세대발사체를 상업발사 하는 과정에서 1단 귀환 시도 등을 통해 2034년 1단 바지선 귀환 등 재사용을 완성한다는 목표다.
다만 이런 계획이 진행되려면 기존 2조1천억원에서 2천980억원을 증액해 기획재정부에 제출한 사업 적정성 재검토가 통과돼야 하는 상황이다.
박 부문장은 "국가우주위원회 승인 등을 통해 사업 근거를 잘 마련해 가고 있기 때문에 빨리 사업 적정성 재검토가 진행될 수 있도록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shjo@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