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NIPA(정보통신산업진흥원), NIA(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IITP(정보통신기획평가원)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참여할 국내 정예팀 공모에 착수한다고 20일 밝혔다.
공모는 국내 AI 기업·기관 중심의 정예팀(컨소시엄 가능)을 대상으로 하며, 최대 5개 정예팀을 선발해 단계평가로 경쟁형 압축할 계획이다. 특히 미래 AI 인재 육성 관점에서 대학·대학원생 참여를 필수로 한다.
6개월 내 출시된 최신 글로벌 AI 모델 대비 95% 이상의 성능을 목표로 참여할 정예팀이 구체적인 개발 전략과 방법론을 주도적으로 제시할 수 있으며, 목표와 방법론 등은 단계평가마다 무빙타겟 방식을 도입해 급변하는 AI 기술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해나갈 방침이다.
참여할 정예팀이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에 필요한 희망 자원(GPU, 데이터, 인재)을 자유롭게 제시하도록 하는 한편, 추후 평가 등으로 적정규모 검토 후 지원할 계획이다.
국민 AI 접근성 증진, 공공·경제·사회 AI 전환 지원 등의 국내 기여계획을 참여 정예팀으로 하여금 제시하도록 해 선정평가에 반영할 방침이며, 참여기업 규모와 오픈소스 수준에 따라 정예팀의 매칭 비율이 차등화될 예정이다.
평가는 다양한 분야의 국내외 AI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평가위원회를 구성해 진행한다. 프로젝트 지향점에 걸맞는 정예팀을 선정할 계획이다. 올해 12월에 진행하는 6개월 단위 단계평가의 경우 △콘테스트 기반의 국민·전문가 평가 △국내외 벤치마크와 한국어 성능·안전성 검증체계 기반의 검증평가 △파생 AI모델 수 기반의 파생평가 등이 연계되는 입체적 평가를 추진한다.
또 정예팀 대상으로 글로벌 파급력 있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에 필요한 GPU, 데이터, 인재를 종합 지원한다. GPU의 경우, 올해부터 내년 상반기까지는 민간이 보유한 GPU를 임차해 지원하고(1차 추경, 1576억원 규모) 그 이후는 정부 구매분(1차 추경, 첨단 GPU 1만장)을 활용해 지원함으로써, 팀당 GPU 500장 등부터 시작해 단계평가를 거쳐 1000장 이상 규모의 GPU를 지원할 예정이다.
데이터의 경우 모든 정예팀들의 저작물 데이터 공동구매와 함께, 개별 정예팀의 데이터 구축·가공을 지원하며, 팀당 데이터 공동구매는 연간 100억원, 데이터 구축·가공은 연간 30억~50억원(연도별 정예팀 압축에 따라 상이) 규모로 지원할 계획이다.
인재의 경우 정예팀이 해외 우수 연구자(팀, 재외한인 가능)를 주도적으로 유치할 경우, 인건비, 연구비 등 필요 비용을 정부가 매칭 지원하며, 연간 20억원 규모의 지원이 이뤄진다. 특히 인재 지원은 인재 확보의 연속성 차원에서 정예팀 압축과 관계없이 2027년까지 지속 지원할 방침이다.
오픈소스를 지향해 개발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국내 AI 생태계에 확산해 나간다. 정예팀 공모 시, 정예팀으로 하여금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의 국민 AI 접근성 증진과, 공공·경제·사회 AI 전환 지원 계획을 제시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정부도 매칭해 적극 확산해 나갈 방침이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넘어 AI 시대 대한민국의 기술주권 확보, 모두의 성장을 도모하는 생태계 구축이 목표"라며 "이를 통해 국내 최고 수준의 AI 정예팀들이 도전해 글로벌 수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확보, 확산함으로써 대한민국이 AI 강국으로 도약하는 '모두의 AI'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승한 기자 winone@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