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온 전경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원장 이식) 국가슈퍼컴퓨터 5호기 '누리온'이 기초과학연구원(IBS) 중이온가속기연구소의 중이온가속기 '라온' 실험 정밀 예측을 지원, 세계 핵물리학계 주목을 받고 있다.
KISTI에 따르면 라온은 가속시킨 중이온을 표적에 충돌시켜 새로운 희귀동위원소를 생성하는 장치다. 지난해 7월부터 본격 가동했다.
이에 발맞춰 김영만 IBS 희귀 핵 연구단 박사 그룹과 조기현 KISTI 첨단과학컴퓨팅센터 박사 그룹이 공동 연구팀을 꾸렸다. 누리온 거대규모 전산 모사로 라온 실험 타당성을 검증하고, 누리온 1500노드를 전용 할당받아 라온 주요 미래 실험 주제를 제안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라온은 우주 탄생 초기 비밀 규명, 우주 원소의 기원 추적, 별의 진화 규명, 핵의 구조 및 핵력 본질 이해 등을 주요 목표로 삼고 있다. 그러나 기술·경제적 제약으로 빔타임이 한정돼 실험 전 정밀 시뮬레이션을 통한 타당성 검증과 독창적인 주제 제안이 매우 중요하다.
원자핵은 수십~수백 개 핵자(양성자·중성자)가 복잡하게 상호작용한다. 이를 양자역학적으로 정확히 모델링하려면 원자핵 파동 함수와 핵자 간 상호작용을 동시에 고려하는 고차원 계산이 필요하며, 연산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양자 다체 문제'로 알려진 이 문제는 슈퍼컴퓨터를 이용한 고성능 병렬 연산 없이 해결이 불가능하다.
이번 연구에서 누리온은 미시·선험적 핵이론에 기반해 희귀 핵종 구조·성질을 정밀 계산하는 데 활용됐으며, 특히 나트륨-21(21Na) 핵 구조 예측에 성공했다. IBS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지난해 12월 라온 CLaSsy(Collinear Laser Spectroscopy) 장치에서 실제 실험을 수행했으며, 후속 실험도 계획 중이다.
김영만 박사는 “이번 연구는 라온 가동 초기 단계에서 누리온과의 시너지를 통해 실험 예측정확도를 높이고 비용·시간을 절감할 수 있었던 선도적 사례”라며, “앞으로는 실험 설계 단계부터 슈퍼컴퓨터 계산 결과를 반영함으로써 실험 불확실성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식 원장은 “KISTI는 세계 수준의 AI 및 HPC 인프라를 바탕으로, 중이온가속기를 비롯한 국가 대형 장비 기반의 계산과학 연구를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며, “대체 불가능한 연구 인프라 제공 기관으로서 국가 과학기술 혁신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실험 결과는 지난달 27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세계 최고 권위의 핵물리학 학술대회 'INPC 2025'에서 발표됐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