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CSP 통해 연내 GPU 1만장 수급 계획
H200 6400장, B200 3600장 총 1만장 예정
美 AI 칩 규제 완화 조짐...UAE, 사우디 GPU 대량 확보
“GPU 생태계 인프라 구축 정책 재설계 필요”
[이데일리 윤정훈 기자] 한국 정부가 연내 1만여장 규모의 엔비디아 GPU(그래픽처리장치)를 확보하며 글로벌 인공지능(AI) 컴퓨팅 인프라 확보 전쟁에 뛰어들었다. 아랍에미리트(UAE)는 2027년까지 150만장, 사우디아라비아도 수십만장의 GPU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 중국, 유럽 주요국도 GPU를 ‘전략 자산’으로 간주하고 막대한 예산을 투입 중이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올해 1만장 확보에 그치지 않고, 새 정부에서 중장기적으로 GPU 확보를 통해 AI 인프라 구축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3일 서울 중구 서울스퀘어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서 열린 ‘제4차 AI컴퓨팅 인프라 특별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합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4일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첨단 GPU 확보 추진방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1일 통과된 1조4600억원 규모의 예산을 바탕으로 올해 안에 총 1만장의 최신형 GPU를 확보한다는 내용이다. 구체적으로는 엔비디아 GPU H200 6400장, B200 3600장 등 총 1만장을 확보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를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CSP)를 통해 구매하고, 구축한 GPU는 국가 AI컴퓨팅센터를 통해 산학연에 배분할 계획이다.
한국과 달리 UAE, 사우디아라비아 등은 미국의 AI칩 수출 허가 방침에 공격적으로 GPU 확보에 나서고 있다. 이날 블룸버그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가 UAE에 AI칩 수출 허가를 검토 중으로 알려졌다. 이 내용이 현실화하면 UAE는 2027년까지 3년 동안 매년 50만개 엔비디아 H100 칩 등 최첨단 AI 칩을 확보하게 된다. 사우디아라비아 기업인 휴메인도 AI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해 엔비디아 GB300 블랙웰 칩을 1만8000천개 이상 확보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 기업은 향후 수십만개의 GPU를 추가로 확보할 전망이다.
AI 전문가들은 GPU 1만장 수준으로는 글로벌 수준에서 경쟁이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국내에서 자체 대형언어모델(LLM)을 개발중인 회사 관계자는 “한국도 UAE, 사우디처럼 다년간 단계적으로 GPU를 확보하는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국내 AI업계 관계자는 “한국의 CSP 사업자들이 AWS·구글클라우드플랫폼처럼 보안·안정성을 갖추지 못하면 글로벌 신뢰 확보가 어렵다”며 “단순 GPU 임차 지원이 아닌, AI 생태계 전체가 GPU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했다.
정부는 5~6월 CSP 공모 및 선정, 7월 GPU 구매 발주, 10월부터 순차 서비스를 개시한다는 계획이다. 정부 차원의 조달 절차가 장기간 소요되는 만큼 민간을 통해 GPU 구매로 기간을 단축하는 방안을 세웠다. 이렇게 만들어질 GPU 클러스터의 주요 사용권은 향후 설립될 국가 AI컴퓨팅센터(SPC)로 귀속해 AI컴퓨팅 인프라 통합지원체계를 뒷받침한다. 클라우드 회사(CSP)는 운영비 성격으로 일부 GPU 자원을 자체 활용할 수 있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윤정훈 (yunright@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