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클라우드 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선정기관 현황. 과기정통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신규 추진하는 'AI반도체를 활용한 K-클라우드 기술개발사업'의 1차년도 과제를 수행할 연구개발기관을 선정하고 연구에 본격 착수했다고 8일 밝혔다.
이 사업은 국산 AI반도체를 기반으로 상용 AI컴퓨팅 인프라를 구축·운영하기 위한 핵심기술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올해부터 2030년까지 6년간 총 4031억원(국비 3426억원) 규모로 지난해 6월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사업은 국산 AI반도체에 특화된 데이터센터 △인프라·하드웨어(HW) △컴퓨팅 소프트웨어(SW) △클라우드 등 3개 전략분야 28개 세부과제로 구성됐다. 올해는 인프라·HW 5개, 컴퓨팅SW 9개, 클라우드 3개 등 총 17개 과제에 대해 공모해 39개 컨소시엄이 신청했다. 이 중 기술력과 사업화 계획이 우수한 17개 컨소시엄, 총 59개 연구개발기관을 선정했다.
특히, 전략분야별 성과를 통합하고 사업의 최종 성과물을 도출하는 사업 총괄과제는 하이퍼엑셀-리벨리온 컨소시엄이 선정됐다. 이들은 인프라·HW 과제를 통합해 '컴포저블 서버'를 개발하고 컴퓨팅SW 및 클라우드 과제 성과를 적용해 사업 최종 성과를 검증할 계획이다.
컴퓨팅SW 분야 대표과제는 모레가 주관하는 컨소시엄이 선정됐다. 특정 제품에 종속되지 않고 국산 AI반도체 전반에 적용할 수 있도록 오픈소스 기반으로 개발한다. UXL(Unified Acceleration)재단 등 오픈소스 커뮤니티와도 연계해 글로벌 확산도 꾀할 계획이다.
클라우드 분야 대표과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등 연구계와 클라우드산업협회 등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선정됐다. 이를 통해 과제 성과가 특정 클라우드 기업에 종속되지 않고 국내 AI컴퓨팅 인프라 업계 전반에 확산될 수 있도록 추진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디노티시아·파네시아 등 HW분야 기업, 래블업·오케스트로·크립토랩 등 SW분야 기업, 서울대·연세대 등 주요 대학도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 네이버클라우드·NHN·SK텔레콤(SKT) 등 AI컴퓨팅 인프라 운영기업 또한 참여기관으로 과제를 수행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국산 AI반도체 기반 AI컴퓨팅 인프라의 성능효율을 2030년 글로벌 톱3 수준으로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사업 전반을 총괄하는 별도의 'K-클라우드 기술개발 사업단'도 운영해 국내 AI컴퓨팅 생태계 내 교류·협력 및 성과 확산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박태완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그간 국산 AI반도체 산업 활성화를 위해 R&D 및 실증·사업화, 인재양성 등을 적극 지원해왔다. 올해는 추경 494억원을 포함해 총 2423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라며 "AI반도체 국산화를 넘어 AI시대 핵심 경쟁력인 AI컴퓨팅 인프라를 우리 기술로 완성할 수 있도록 K-클라우드 기술개발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해 세계적인 수준의 AI컴퓨팅 산업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 말했다.팽동현기자 dhp@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