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서울 중구 매경미디어센터에서 열린 국민의힘 대통령 선거 제2차 경선 후보자 토론회에서 경선 후보들이 토론에 앞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안철수, 한동훈, 김문수, 홍준표 경선 후보. 연합뉴스
국민의힘 대선 2차 경선 마지막 토론회에서 4명의 후보는 다른 후보들이 제시한 정책 공약을 둘러싸고 공방을 주고받았다. AI와 국토균형발전, 개헌 등 4명의 주자가 공통으로 제시한 정책 의제들을 두고 서로의 차별점을 부각하는 데 주력했다.
26일 서울 중구 MBN 스튜디오에서 열린 국민의힘 2차 경선 ‘4강 토론회’에서 김문수 후보는 한동훈 후보의 ‘5대 메가폴리스’ 정책을 문제 삼았다. 이는 전국에 서울과 같은 경쟁력을 지닌 대도시를 다섯 군데 만들겠다는 한 후보의 대표적 정책이다.
김 후보는 “서울과 똑같은 그런 훌륭한 도시를 2년 만에 전국 지방에 5개를 만들어 내겠다는데 이게 어떻게 가능한 이야기냐”고 말했다. 경기지사를 지냈던 김 후보는 이어 “저도 많은 도시계획도 해 보고, 도시도 만들어봤는데, 집 한 채 짓는데도 보통 2년은 걸린다”고 지적했다.
한 후보는 “5대 메가폴리스는 없는 신도시를 새로 만들겠다는 의미가 전혀 아니다”며 “집중적으로 지방의 대도시를 중앙 차원에서 지원해 서울과 경쟁하도록 키우자는 얘기”라고 설명했다.
26일 서울 중구 매경미디어센터에서 열린 국민의힘 대통령 선거 제2차 경선 후보자 토론회에서 김문수, 한동훈경선 후보가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 후보의 설명에 나머지 후보들의 협공이 펼쳐지기도 했다. 김 후보가 “홍준표 후보도 대구시장, 경남지사를 해 봤겠지만, 이게 가능한 얘기냐”고 물었고, 홍 후보는 “허황된 공약인 게 제대로 하려면 신도시 하나 하는 데만 10년도 더 걸린다”고 거들었다. 한 후보는 “두 분은 제 설명을 들으시려고 하는 것 같지 않다”며 “예를 들어서 중앙정부 차원에서 대구를 5대 메가폴리스 중 하나로 정해 집중적으로 지원하면 안 되느냐”고 말했다.
안철수 후보와 홍 후보는 복지와 개헌 공약을 두고 맞붙었다. 안 후보는 홍 후보가 제시한 ‘성장 비례 복지’를 거론하며 “모순된 공약”이라고 지적했다. 안 후보는 “지금 경제가 아주 나빠지고 있을 때 제일 괴로운 게 사회적인 약자”라며 “이런 사회적인 약자들에게 주어질 복지 혜택이 더 줄어든다면 더 힘들어질 것 아니겠나”고 말했다. 홍 후보는 “그렇지 않다. 복지 분야에서 서민복지 정책이 또 따로 있다”고 응수했다.
26일 서울 중구 매경미디어센터에서 열린 국민의힘 대통령 선거 제2차 경선 후보자 토론회에서 안철수, 홍준표 경선 후보가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안 후보는 홍 후보의 개헌 공약 중 하나인 국회 상·하원 양원제 도입을 비판했다. 안 후보는 “지금도 국회 안에서 갈등이 심한데, 상원 하원이 있으면 얼마나 갈등이 더 심해지겠나”고 물었다. 이에 홍 후보는 “지금 잘못 생각하고 있는 게 OECD 국가 중 단원제를 채택하고 있는 것은 우리나라와 튀르키예밖에 없다”며 “하원에서 분쟁이 있으면 상원에서 조정하자는 것”이라고 맞받았다.
한 후보와 안 후보는 AI 인재양성 정책을 두고 맞붙었다. 안 후보가 “AI 전문인재 양성 목표를 1만명으로 제시했는데 맞느냐”는 고 묻자 한 후보는 “AI 전문인력이라는 게 세계에 그리 많지 않다. 우수한 인력을 최대한 많이 데려와야 한다는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한 후보는 안 후보가 과학기술 핵심인재 100만명 양성을 목표로 제시한 것을 두고 “한 해에 나오는 출산이 몇십만밖에 안 된다”며 “핵심인재가 대한민국에 100만명이나 있을 수 있냐”고 꼬집었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