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노사 올해 산별교섭 시작
은행권 노조 강경모도 이어가
“정치도 노조에 유리”… 협상 진통 전망
IBK기업은행 노동조합이 지난 16일 서울 을지로 기업은행 본점 앞에서 ‘임단협 합의 촉구 및 부당대출사태 규탄 결의대회’를 열고 있다. /기업은행 노조 제공
은행권 노사가 임금 인상 및 주 근로시간 단축 등을 놓고 첨예하게 대립할 것으로 전망된다. 은행권 노동조합의 상급단체인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이 올해 7.1% 임금 인상과 주 4.5일제 시행 등을 사측에 요구했다. 은행권 노조가 최근 강경모드를 이어가고 있어 협상에 난항이 예상된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노조는 올해 산별중앙교섭 과제로 임금 7.1% 인상과 노동시간 단축을 제안했다. 노조는 경제성장률(1.5%)과 소비자물가상승률(1.9%) 전망치에 최근 3년(22년~24년) 동안 발생한 실질임금 저하 상황(3.7%)을 고려해 7.1% 인상안을 산정했다고 설명했다.
업무시간 단축의 경우 구체적으로 주 4.5일제를 핵심으로 영업시간 단축, 조기 출근, 야간 시간 외 근무 근절, 점심시간 동시 사용 등을 요구했다. 노조는 이밖에도 ▲통상임금 범위 확대 ▲정년 연장 및 임금피크제 폐지 ▲신규 채용 확대▲금융노사의 날 지정 등을 요구했다.
사측은 노조의 요구안에 부정적인 입장을 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노조가 8%대 임금 인상안을 요구했을 때 사측은 1.5% 인상을 제시했다. 또 4.5일제 시행에도 반대했었다. 올해도 사측의 이런 기조는 유지될 전망이다.
금융 노사는 지난 8일 상견례와 1차 산별중앙교섭을 진행했고 다음 22일에 추가 협상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다만 올해 노사 협상이 녹록치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금융권에서 나온다. 최근 몇년간 은행권 노조가 총파업을 불사하는 등 강경모드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개별 임금 협상 과정에서 국민은행 노조는 ‘300% 성과급’을 요구하며 파업 카드를 꺼냈다. 이후 총파업을 앞두고 노사 간 극적 협상 타결로 파업까지 이어지진 않았다.
기업은행 노조는 지난해 12월 창사 이래 첫 총파업을 단행했다. 오는 5월에도 총파업을 하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정치 상황도 노조 측에 유리하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오는 6월 대선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이 금융노조가 정책 연대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박홍배 민주당 의원(비례대표)은 2019년 금융노조위원장으로 은행권 총파업을 주도했었다.
특히 주 4.5일제 시행의 경우 이재명 민주당 예비후보와 국민의힘이 모두 대통령 선거 공약으로 내걸었다는 점에서 정치권의 압박 때문에 은행권이 선제 도입할 수도 있다는 관측도 금융권에서 나온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내수 경기 침체와 대외 경제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다수 국민이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다”며 “은행 노조가 7%대 연봉 인상을 제안했다고 하면 국민들의 비판을 피하긴 어려워 보인다”고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