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SIA 프리팁스] 한국초기투자기관협회(KESIA)는 중기부 주관 민간주도형 예비창업 지원 프로그램 ‘프리팁스(시드트랙)’의 주관 기관이다. 프리팁스는 민관 협력 창업 프로그램 TIPS의 이전 단계 지원 프로그램이다. 전문성을 갖춘 민간 운영사 6곳(인포뱅크, 프라이머 시즌 5, 앤틀러코리아, 엔슬파트너스, 탭엔젤파트너스, 와이앤아처)이 스타트업의 창업팀 구성부터 시드 투자 유치까지 초기 단계 성장을 책임지고 지원한다.
[IT동아 강형석 기자] 전 세계적으로 건강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면서 관련 시장도 부상 중이다. 건강기능식품부터 보조장비 등 종류도 다양하다. 하지만, 근본적인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빠르게 확산하는 모습이다. 이는 식음료 시장 성장에서도 엿볼 수 있다. 시장조사기업 비즈니스 리서치 인사이트의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다이어트 식음료 시장은 2024년 기준 약 2456억 달러(약 350조 6430억 원)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2023년의 2361억 달러(약 337조 799억 원) 대비 4% 이상 성장한 수치다.
다이어트 식음료의 중심에는 저당(설탕), 저탄(탄수화물) 등이 있다. 입이 즐거운 소재지만, 비만과 당뇨 등 질병을 유발한다. 그렇다고 설탕과 탄수화물 등을 빼고 식음료를 제공하면 맛이 없다. 최근에는 다양한 시도를 통해 저당ㆍ저탄에 맛까지 확보한 제품이 대거 출시되고 있다. 시장이 성장한 이유도 이 때문이다.
안은민 슈가디 베이커리 대표 / 출처=IT동아
슈가디 베이커리는 설탕과 밀가루 없는 저당ㆍ저탄 식음료 시장에 뛰어든 스타트업이다. 스콘, 휘낭시에, 식빵, 케이크 등 다양한 저당ㆍ저탄 제품을 출시했다. 설탕과 밀가루를 쓰지 않았지만, 다른 제품과 비교해 아쉽지 않은 맛과 식감을 제공하는 게 특징이다.
안은민 슈가디 베이커리 대표는 취미지만, 제빵 관련 자격증을 대부분 취득했을 정도로 진심을 다했다.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직접 구운 빵을 먹고 행복해하는 모습을 보고 싶었다는 게 제빵을 시작한 이유다. 하지만, 취미라도 구운 빵들의 모양 또는 품질이 만족스럽지 않으면 스트레스를 받았다는 게 안은민 대표의 설명이다. 하지만, 저당ㆍ저탄 식음료 시장에 뛰어든 것은 건강 문제 때문이다.
안은민 슈가디 베이커리 대표 / 출처=IT동아
“건강에 문제가 생겨 수술을 받았습니다. 이후 의사가 밀가루와 설탕 조절은 필수라고 조언하더군요. 그 얘기를 듣고 갑자기 생각났어요. 내가 그동안 만들었던 빵들이 소중한 사람들 입에 즐거움과 행복을 주는 것과 동시에 건강을 해친 게 아닐까 하고요. 이후 저당ㆍ저탄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다방면으로 노력했지만, 결과를 얻는 과정은 쉽지 않았다. 단순히 저당ㆍ저탄을 구현하면 맛이 없었고, 타협하니 애매한 결과로 이어졌다. 안은민 대표는 저당ㆍ저탄 분야를 제대로 알아보자는 생각에 공부를 시작했고, 자연스럽게 혈당 관리의 중요성을 깨닫게 됐다. 이후 지병 또는 건강 관리로 인해 저당ㆍ저탄 식품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바라보며 창업을 결심했다.
건강한 먹거리는 대체로 맛이 없다는 게 대중의 인식이다. 슈가디 베이커리는 건강한 식음료라도 맛을 놓치지 않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안은민 대표는 “맛이라는 게 주관적이지만, 남녀노소 누구나 건강 때문에 먹고 싶은 걸 포기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을 바탕에 두고 제품을 만들고 있어요”라고 말했다. 안은민 대표는 제품을 시식하면 대부분 “이게 정말 저당ㆍ저탄 맞아요?”라는 반응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맛과 건강함을 모두 확보한 것은 안은민 대표의 노력 때문이다. 안은민 대표는 개발한 식음료가 혈당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매번 확인한다. 공복에 섭취하거나 신체 변화가 있는 날, 스트레스 많이 받은 날 등 다양한 상황에서 제품을 섭취하고 연속 혈당 측정기로 변화를 기록하는 식이다. 메뉴를 개발할 때는 아무것도 먹지 않을 정도다. 스스로 결과를 증명하는 게 소비자와의 신뢰와 약속을 지키는 길이라 게 안은민 대표의 설명이다.
슈가디 베이커리는 스콘, 휘낭시에, 식빵, 케이크 등 다양한 저당ㆍ저탄 제품을 판매 중이다 / 출처=슈가디 베이커리
각고의 노력 끝에 안은민 대표는 저당ㆍ저탄 스콘, 휘낭시에, 식빵 등을 개발했다. 오프라인 매장 한정으로 레터링 케이크도 판매하고 있다. 식빵에 곁들이는 노슈가잼도 판매를 위한 준비 과정에 돌입했다. 다양한 저당ㆍ저탄 식음료 연구개발도 진행 중이다. 누구나 먹는 즐거움을 포기하지 않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한 걸음씩 내딛는 중이다.
슈가디 베이커리의 고민은 대량 생산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이다. 스타트업 단계에서 대량 생산 인프라를 구축하기란 쉽지 않기에 다양한 투자 활동을 통해 해결하겠다는 입장이다. 대량 생산 체제를 구축하더라도 품질을 유지하는 부분에 큰 노력을 기울이는 중이다. 마케팅에도 힘을 쏟고 있다. 다양한 소셜미디어에 게시물을 등록, 슈가디 베이커리를 알리는 식이다. 대기업과 직접 경쟁은 어렵지만, 스타트업이기에 시도 가능한 전략으로 시장을 확대하는 모습이다. 안은민 대표는 “포기하지 않고 고객들이 좋아하는 제품을 계속 선보이면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슈가디 베이커리가 성장의 발판을 마련한 데에는 한국초기투자기관협회와 프라이머의 도움이 있었다. 권도균 프라이머 대표가 사업 초기 방향성과 마케팅에 전략 등을 설정해 줬다. 프리팁스 프로그램에서는 제품 연구개발에 필요한 지원을 받았다. 슈가디 베이커리의 기업 로고와 패키지 디자인, 마케팅 테스트도 프리팁스를 통해 진행됐다. 안은민 대표는 “스타트업 단계에서는 생산과 관리 모두 시도하는 게 어려워요. 하지만 프리팁스를 통해 어떤 방식으로 운영할지 파악하는 기회가 됐다고 생각합니다. 다양한 마케팅을 시도할 수 있게 도움도 많이 받았습니다”라고 말했다.
안은민 슈가디 베이커리 대표 / 출처=IT동아
2025년, 안은미 대표는 기업 성장을 위한 계획을 실행에 옮긴다. 대량 생산과 납품이 가능한 인증을 준비하며 도약의 기틀을 다진다. 해외 진출도 타진할 예정이다. 건강한 식품에 대한 인식이 뚜렷한 영미권 시장에 우선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건강한 재료와 함께 유통기간 확보에 필요한 기술 연구개발에도 속도를 낸다. 안은민 대표는 “규모를 갖추면서 빠르게 성장하는 게 목표입니다. 목표 달성을 위해 어떻게 해야 되는지 매일 고민해요. 빨리 방법을 찾아 많은 사람들이 건강하게 먹는 즐거움을 포기하지 않도록 만들고 싶어요”라고 말했다.
IT동아 강형석 기자 (redbk@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Copyright © IT동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