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호남고속도로 지하화·대전교도소 이전 등
세종, 대통령 집무실 및 국회의사당 완전 이전 등
충남, 가로림만 해양생태정원 사업·육사 이전 등
충북, 청주공항 민간 항공기 전용 활주로 건설 등
"각 정당의 이념과 가치 맞춰 차별화된 정책 제시해야"
대전일보DB
충청권 4개 시·도가 조기 대선을 앞두고 각 정당과 후보자에게 건의할 대선 공약을 확정, 공약화에 사활을 걸고 있다.
지역별로 해묵은 현안사업이 많은 만큼 하나라도 더 대선 공약에 담길 수 있도록 당위성과 논리 개발 등 후속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4개 시도가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게 공통·상생 과제 발굴을 위한 연합전선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23일 대전·세종·충남·북 등 충청권 지자체에 따르면 각 시도는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한 사업과 미래 사업을 중심으로 대선 공약화 작업을 완료했다.
대전시는 'G2 국가 대한민국, 선도 도시 대전'이라는 비전 아래, 과학과 산업, 교통, 문화 등 전 분야를 아우르는 총 42개의 현안사업을 뽑았다. 이 중 12개 과제를 별도 선정해 차기 정부의 전략적 국정과제로 반영될 수 있도록 제안했다. 필요한 국비 요청 규모는 31조 1244억 원에 달한다. 대전·충남 행정통합을 모델로 한 미래지향적 행정 체제 개편과 호남고속도로 지하화 및 충청권 광역도로망 구축, 나라사랑공원 건립, 대전교도소 이전, 대전혁신도시 공공기관 2차 이전 등이 핵심 과제로 이름을 올렸다.
세종시는 행정수도 완성 관련 공약 10건, 국가 대도약 성장동력 기반 조성 7건, 품격 있는 행정수도 완성 9건 등 총 3개 분야 26개 대선 공약 과제를 제시했다. 예산 규모는 총 15조 5570억 원이다. '행정수도 명문화 개헌', '대통령실 및 국회의사당 완전 이전', '미이전 중앙행정기관 세종 이전' 등을 최우선 과제로 요청했다. 이외에도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 조속 추진, 첫마을 IC 신설, 제2외곽순환도로 신설 등 교통 인프라 확충을 통해 시민 체감도를 높이는 데 주력했다.
충남은 국가 정책 방향 제안 13건과 지역 8대 목표 35개, 정책 61개 세부 사업을 올렸다. 2차 공공기관 이전계획 조속 발표, 베이밸리 경제자유구역 개발, 서산공항 조기 건설, 국립 치의학연구원 설립 등이 포함됐다. 가로림만 국가해양생태공원 조성, 지천댐 조기 건설, 서해안-KTX 조기 개통 등 굵직한 지역 현안 사업이 포함됐다.
충북은 청주국제공항 민간항공기 전용 활주로 건설, 충청권광역급행철도(CTX) 조기 추진, 충북대병원 충주분원 건립, 청주 야구장 건립 등 각 정당과 후보자들에게 건의할 현안 사업 63건과 제도 개선 과제 16건을 적극 요청키로 했다. 핵심 과제 외에 청남대 상수원보호구역 규제 완화 사범 지구 지정, 청주공항 특별법 제정, 중부내륙연계발전지역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전면 개정 등에 대해 차기 정부에 도움을 요청할 계획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이번 제안 과제를 각 정당과 대선 캠프에 전달하고 방문 설명하는 등 공약 반영을 위한 총력전을 펼칠 계획"이라며 "여기에 최종 후보자 선출과 선거 전까지 과제의 완성도를 높이고 정책 대안을 보완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지역 현안 공약 채택을 위해선 단순히 사안을 나열하는 것이 아닌, 차별화된 전략을 제시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육동일 한국지방행정연구원장은 "차기 정부는 인수위원회가 없이 바로 집무를 시작하기 때문에 각 지역 공약 채택 여부가 매우 중요한 상황"이라며 "대전·충남의 경우 행정 통합, 충북은 내륙 발전 특별법 제정 등을 충청권 4개 시도가 힘을 모아서 같이 제시하면 훨씬 시너지가 커진다. 정당이 지향하는 이념과 가치에 따라서 차별화된 정책 사업을 제시하는 것도 공약 채택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