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24일 기자간담회
소버린 AI 개발, 국가차원 큰 투자 필요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23일 서울 강남구 네이버스퀘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소버린 AI’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네이버클라우드
“단순히 외국산 기술에 우리 것이라고 상표만 붙인 것을 소버린 AI(인공지능)라고 할 수 있을까요? 이건 ‘언어도단’입니다.”
23일 서을 강남구 네이버스퀘어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김유원 대표는 KT의 소버린 AI 전략에 대한 입장과 전망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최근 마이크로소프트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KT가 양사 공동으로 개발한 소버린 AI를 국내 시장에 공급한다고 밝혔는데 이를 의식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김 대표는 “한 나라의 소버린 AI가 성공하려면 정부와 기업의 의지, 글로벌 밸류체인 공급, 그리고 우리와 같은 기술제공자들의 협조까지 세 요소가 필요하다”며 “네이버클라우드는 기술 제공자로서 엔비디아 등 글로벌 빅테크들과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김 대표는 우리나라 전체의 AI 생태계 발전을 위해 오픈소스로 하이퍼클로바 X SEED의 세 모델을 공개하기로 결정한 것이라며 이는 ‘소버린 AI’와도 연관된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과 중국의 기술패권 경쟁이 치열해지고 갈등이 커질수록 우리 스스로 AI를 만들고 운영하는 역량이 중요하다”며 “AI가 국가나 사회를 움직이는 인프라가 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부연했다. 이어 “한 나라의 언어, 문화, 관습을 잘 이해하는 생성형 AI 모델이 필요한데, 이를 만들고 지속적으로 개선해나가는 기본 역량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감 대표는 초고령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케어콜 서비스, 한국수력원자력 특화 AI 플랫폼 구축과 한국은행의 하이퍼클로바 X 도입 사례를 설명하며 소버린 AI는 국가가 자체적으로 인프라 등을 구축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미국, 중국을 제외하고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플랫폼, 관련 인재까지 모두갖춘 사실상 유일한 국가”라며 “소버린 AI를 구축하기 위해선 국가 차원의 큰 투자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성낙호 하이퍼스케일 AI 기술 총괄은 “딥시크 충격 이후 한국도 AI 추론모델을 만드냐는 질문을 많이 받았는데, 이 자리에서 공개할 수 있어 다행”이라며 “이는 우리가 플래그십 모델을 지속 업데이트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고 말했다.
성 총괄은 향후 하이퍼클로바 X는 멀티모달(감각)의 확대와 추론(지능) 모델의 확대 방향으로 업데이트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멀티모달의 확대를 통해 AI가 문서와 이미지 인식에 이어 영상, 소리를 이해하고 더 나아가 발화까지 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AI에 말로 질문을 던지면 AI가 실제 사람처럼 생각한 뒤 답을 내놓는 방식이다.
추론 모델의 확대는 온 서비스 AI와 연결된다. 사용자의 별도 지시 없이도 AI가 스스로 여러 서비스를 연결해 필요한 답을 내놓는 것이 목표다. 목적지 인근 식당을 예약해달라고 하면 AI가 자동으로 예약 기능을 불러와 예약을 해준다. AI에 기존 4인을 6인 예약으로 바꿔달라고 요청하면, AI가 기존 예약을 취소하고 다시 예약을 진행한다. 네이버는 올 상반기 하이퍼클로바 X 추론모델을 선보일 예정이다.
성 총괄은 AI를 만들기 위해선 투자가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성 총괄은 “딥시크 충격 이후 한국은 뭘 했냐는 지적이 많던데, 인재가 없어서가 아니라 GPU가 부족한 탓”이라며 “GPU가 부족한건 결국 시장의 수요가 작기 때문인데, 이 수요는 정부가 만들어주면 바로 해결될 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AI는 GPU가 필요하고, GPU는 수요가 있어야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