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인공지능(AI) 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목표로 1조4600억원을 투입해 첨단 연내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 1만장 확보에 나선다. 사진은 컴퓨터 서버 내부에 보이는 엔비디아 GPU. /로이터=연합뉴스
정부가 인공지능(AI) 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목표로 1조4600억원을 투입해 첨단 연내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 1만장을 확보한다. 이와 함께 국산 AI 반도체의 조기 상용화를 지원하는 실증사업에도 당초 예산보다 2.5배 많은 752억원을 올해 투입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이런 내용이 담긴 ‘국가AI역량 강화방안 후속조치’(이하 후속조치)를 본격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후속조치는 지난 15일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관계 부처 합동 논의를 통해 마련됐다. 이날 1조8000억원 규모의 AI 분야 추경 정부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되면서 후속조치 추진이 본격화됐다.
이번 후속조치는 과기정통부가 지난 2월 20일 제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AI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통한 국가AI역량 강화 방안’(국가AI역량 강화방안)을 기초로 한다. 강화방안 방향성과 마찬가지로 후속조치도 ▲AI컴퓨팅 인프라 확충 ▲ 차세대 AI모델 개발 ▲AI 전환 가속화를 추진전략을 골조로 한다.
과기정통부는 “미국·유럽 등 주요 국가들에서 AI 주도권 선점을 위해 수천억 달러를 투자하는 등 국가 총력전이 전개되는 상황”이라며 “한국도 국가 차원의 전략을 과감하게 실행해 AI 경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미국 정부는 지난 1월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스타게이트’에 4년간 최소 5000억 달러(약 730조원)를 투입한다고 했다. 유럽연합(EU) 역시 지난 2월 ‘AI 기가팩토리 프로젝트’ 포함해 AI에 300조원을 투자한다. 프랑스 정부도 ‘AI 데이터센터’에 163조원을 쓴다고 발표한 바 있다.
올해 초 중국에서는 AI스타트업 ‘딥시크’가 효율적인 알고리즘으로 고성능 AI모델을 구현하면서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에 따라 기존 대규모 투자 중심의 경쟁 구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이 주목받는 추세다. 정부는 이에 맞춰 국가 AI 역량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자원을 집중하고자 이번 후속조치를 시행하는 것이라고 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후속조치에 대해 “AI 분야 추경 정부안을 계기로 ‘국가AI역량 강화방안’의 실질적 이행을 본격화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라며 “즉각적이고 효율적인 재정 투입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뉴스1
◇‘AI 개발 핵심 부품’ GPU 연내 1만장 확보
정부는 이번 후속조치 시행에 따라 1조4600억원을 써 연내 클러스터링 기반 첨단 GPU 1만장을 확보할 계획이다. GPU는 AI 학습과 추론에 필수적인 부품이다. 정부는 시급한 국내 AI컴퓨팅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민간이 보유한 첨단 GPU 2600장의 추가 임차·활용도 지원하기 위해 1723억원을 투입한다.
국산 AI반도체의 조기 상용화를 지원하는 실증사업의 규모도 확대했다. 올해 이 사업에는 298억원이 투입될 계획이었으나 752억원으로 예산이 늘었다. 정부는 이번 추경을 통해 높은 잠재력을 가진 국내 AI반도체 기업이 적기 내 신경망처리장치(NPU)를 상용화할 수 있도록 직접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와 관련 대규모 AI컴퓨팅 상용서비스에 최적화된 국산 NPU 실증 인프라도 구축한다.
첨단 AI 연구개발(R&D)과 AI 인프라 투자에 대해 세제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3월 ‘조세특례제한법’이 개정된 바 있다. 이를 통해 AI가 국가전략기술로 지정됐다. 과기정통부는 이에 따라 하위법령 개정을 통해 전략기술의 범위 등을 구체화해 나갈 계획이다.
또 ‘AI 정예팀’을 선정해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에는 1936억원이 쓰인다. 글로벌 수준의 AI모델 개발을 위해 국내 기업으로 구성된 팀을 선정해 최대 3년간 GPU, 데이터, 인재 등 필요한 자원을 집중 지원하겠단 취지다.
AI인재 확보·양성도 지원한다. 정부는 100억원 들여 AI 인재들이 겨루는 ‘글로벌 AI챌린지’를 하반기에 개최할 예정이다. 해외 최고급 AI 연구자를 국내에 유치할 경우 3년간 최대 연 20억원을 지원하는 프로젝트가 올해 신규로 추진(50억원)된다. AI 융합 분야 국내외 우수 박사후연구원 400명에 300억원을 투자한다.
AI 스타트업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 민관이 합동으로 조성 예정인 900억원 규모의 ‘AI 혁신펀드’는 2000억원 규모로 확대한다. 2025년 정부 예산은 450억원에서 1000억원으로 증액 투입할 계획이다. AI 분야 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위해 연구개발특구 내 AI 분야 연구성과와 혁신 인프라 활용을 극대화해 AI‧AX 딥테크 기업을 육성하는 트랙에 대한 예산도 451억원으로 높아졌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AI 주도권을 놓고 촌각을 다투는 글로벌 경쟁속에서 이번 추경은 매우 시의적절하며 중대한 결정”이며 “과기정통부는 ‘1년이 늦어지면 경쟁력은 3년 뒤처진다’라는 절박한 각오로 추진 과제를 철저히 준비해 AI G3 도약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 나가겠다”라고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