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하기 캠프' 경제 분야 공약 발표 기자회견
'한국형 전환모델' 제시…메가시티 중심 균형발전 강조
"향후 5년간 100조 원 규모 민관 공동투자로 AI 모델 개발"
"5대 첨단기술 분야에 국가전략기술기금 50조 원 조성"
"정치권은 감세 경쟁…현실성 있는 재정전략 필요" 강조
캠프 좌장엔 최재성 전 靑정무수석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대선 경선 후보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경제분야 정책 발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6.3 조기대선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예비후보는 16일 AI(인공지능) 주권 확보와 산업 전환을 위해 향후 5년 동안 민관 공동으로 100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관련해서 증세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김 후보는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경제 분야 공약을 발표 기자회견에서 "신산업과 국민 개개인에 과감하게 투자해야 한다"며 "AI 전환과 기후경제 전환은 세계의 각축이 벌어지는 주요 무대"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만이 내세울 수 있는 '한국형 전환모델'을 만들어야 한다"며 △벤처와 스타트업 혁신 생태계 조성 △전국 5대 권역 메가시티를 중심으로 한 균형발전 △지역 '국가 특성화 연구중심대학' 등을 통한 인재 양성을 3대 전략으로 제시했다.
특히 김 후보는 "전략적 국가 투자로 정부가 혁신의 위험을 앞장서 부담하겠다"고 공약했다. 그는 "향후 5년간 총 100조원 규모 민관 공동투자로 '한국형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겠다"며 "산업별로 특화된 AI 혁신 프로젝트 지원"도 강조했다.
산업 전환 측면에서는 △AI △차세대반도체 △바이오헬스 △모빌리티 △탈탄소 에너지전환 등 5대 첨단기술 분야의 연구혁신을 위해 "국가전략기술기금 50조원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현실성 있는 재정 전략으로 정부 투자를 뒷받침하겠다"며 "정치권이 감세 경쟁에 열을 올리고 있다. 17%로 떨어진 조세부담률을 22% 이상으로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증세에 대한 반감을 고려해 "세금이 정부에서 허투루 쓰이지 않는다는 신뢰가 먼저 확보돼야 한다"며 "다음 정부에서는 증세를 국민들과 논의할 수 있도록 정부의 자기 혁신을 먼저 할 것"이라고 조건을 달았다.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대선 경선 후보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경제분야 정책 발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 후보는 이날 공약 발표와 함께 경선 캠프 구성도 소개했다. 캠프 이름은 연대와 연합의 덧셈 정치를 실현한다는 뜻으로 '더하기 캠프'라고 명명됐다.
캠프 좌장은 최재성 전 문재인 정부 청와대 정무수석이 맡았다.
김 후보는 "캠프는 30·40대 실무자와 청년들 중심으로 꾸려졌다"며 "캠프 슬로건은 김대중·노무현·문재인 정부의 민주주의 정신을 회복하고 빛의 연대·연정으로 국민의 마음을 함께 모은다는 의미로 '다시 함께'라고 정했다"고 설명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CBS노컷뉴스 김형준 기자 redpoint@cbs.co.kr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