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청, 제4차 한미 민간우주대화 개최
첫 공식 양국 회의..美 우주임무에 협력
존 리(왼쪽 첫번째) 우주항공청 우주항공임무본부장은 1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제4차 한미 민간 우주대화'에 우리 측 공동 수석대표로 참가했다. 우주청 제공
우리나라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달 유인 탐사 프로젝트인 아르테미스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넓어지고, NASA가 운영 중인 저궤도 상업 우주정거장(CLD), 상업 달 운송 서비스(CLPS)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우주항공청과 외교부는 1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제4차 한미 민간 우주대화'에서 미국 정부와 이같은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열린 공식 양자 우주대화다. 우리 측은 존 리 우주청 우주항공임무본부장과 한민영 외교부 기후환경과학외교국장이 공동 수석대표로 참여했으며, 미국 측은 라히마 칸다하리 국무부 과학기술우주담당 부차관보와 카렌 펠드스타인 NASA 국제협력국장이 공동 수석대표를 맡았다. 회의에서는 우주정책, 우주탐사, 우주과학 등 10개 의제를 중심으로 논의를 나눴다.
양국은 우선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참여 확대와 라그랑주 L4(지구와 태양 사이 중력 평형점을 이루는 지점) 임무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또한 NASA의 'IMAP(성간지도화 및 가속 탐사선)', 미국 해양대기청의 'SWFO-L1(우주환경 임무)' 등 미국이 추진하는 다양한 임무에 한국이 지원 및 협력키로 했다. IMAP은 태양권의 경계를 연구해 태양풍과 성간 매질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게 주요 임무 목표다. SWFO-L1은 태양풍과 코로나 물질방출을 실시간 모니터링해 우주환경 예측 능력을 높이기 위한 프로젝트다.
위성분야에서도 양국 간 협력을 강화키로 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가 개발 중인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KPS)과 미국의 GPS 시스템의 상호 운용성 강화 방안을 적극 모색했다. 미국이 추진 중인 랜드샛 2030(Landsat) 국제 파트너십에 우리나라의 참여 가능성과 우리나라가 2026년 발사 예정인 차세대중형위성 4호 등의 위성정보 공유 방안 등도 논의했다. 랜드샛 2030은 미국이 전 세계 파트너들과 지구 관측 데이터를 활용해 기후 변화, 농업 관측, 수자원 관리, 산불 영향 평가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을 추진하기 위한 국제 파트너십 이니셔티브다.
아울러 양국은 NASA가 운영 중인 저궤도 상업 우주정거장(CLD)과 상업 달 운송서비스(CLPS) 프로그램에 우리나라의 참여 기회를 지속적으로 모색키로 했다. 우주산업 공급망 구축과 방사선 시험 데이터 공유뿐 아니라, 한미일 3국 간 민간 및 상업 우주협력도 모색키로 했다.
양국은 차기 회의를 2027년 한국에서 열기로 했다.
존 리 우주청 우주항공임무본부장은 "글로벌 포괄 전략동맹의 중요한 분야인 우주에서 양국 협력 강화 의지를 확인했다"며 "앞으로 양국의 우주협력이 기술, 산업, 안보, 정책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