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주자들은 세종시를 행정수도로
완성하겠다는 공약을 쏟아내 행정수도 완성이 이번 대선의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습니다.
◀ 앵 커 ▶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치러질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50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대선 주자들은 세종시를 행정수도로
완성하겠다는 공약을 쏟아내
행정수도 완성이 이번 대선의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습니다.
이번에야말로 충청 표심을 노린
선심성에 그치지 않아야 한다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큽니다.
이승섭 기자입니다.
◀ 기자 ▶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세종시에서 대선 출마를 선언했습니다.
김 전 지사는 차기 대통령의 직무를
세종시에서 시작하고,
특별법 제정과 개헌으로 행정수도 이전을 완성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김경수 / 전 경남지사(어제) ▶
"대통령이 세종시에서 더 많은
집무 시간을 가질 때 주요 현안들에 대해서 직접 장관들과 협의하고, 장관들이 책임지고 현안들을 (추진할 수 있다.)"
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는 21년 만에
신행정수도건설특별법을 재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고,
김동연 경기지사도 국가 주요 기관이 충청권에 모여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 김동연 / 경기지사 (지난달 12일) ▶
"대법원과 대검도 충청권으로 오게 함으로써 실질적인 충청으로의
수도 이전을 강력하게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에서는 유정복 인천시장이
세종시 수도 이전을 통한
국가 균형 발전을 약속했고,
안철수 의원은 개헌으로 행정수도 세종을 완성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 안철수 / 국민의힘 의원 (지난달 26일) ▶
"국회를 포함해서 전부 다 세종시로 옮기자. 그렇게 해서 효율적으로 국가 업무를 진행하자."
개혁신당 이준석 의원도
개헌으로 세종시의 지위를 정리해
국민 화합의 공간으로 조성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 이준석 / 개혁신당 의원 (지난달 13일) ▶
"세종시에 그런 새로운 공간들이 설계된다면 파격적으로 지금도
대통령 집무실 할 땅이랑 국회 땅이랑 나뉘어져 있는데 합쳐버렸으면 좋겠습니다."
시민사회는 선거마다 정치 논리에 휘둘렸던 행정수도론이 이번 대선에서 진일보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 성은정 / 세종참여자치시민연대 사무처장 ▶
"수도권 일극화라고 하는 것에 따른 문제점, 그리고 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도시가, 대안 도시가 세종이라고 하는 국민의 의식 변화도 그동안에 충분히 있다고 보기 때문에"
시민단체는 국가 균형 발전이라는 의제를 공유하는 전국의 시민사회와 함께 대선 기간에 각 후보의 행정수도 공약을 검증할 방침입니다.
MBC 뉴스 이승섭입니다.
(영상취재: 장우창)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