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인공지능(AI) 정책 제언을 위해 범야권 정치인들과 민간 전문가들이 의기투합한다.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과 임문영 더불어민주당 디지털특별위원장,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 한창민 사회민주당 의원 등이 참여하는 'AI전환 연대회의'가 3회 연속 전문가 토론회를 열고 누구나 활용 가능한 AI 정책을 수립한다.
기술 리더십 확보, 사회와 기술 소통, 성장동력과 생태계 등 세 가지 의제를 중심으로 기업·학계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폭넓은 사회적 토론을 거쳐 AI 정책 방향을 제시할 계획이다.
AI전환연대 공동의장을 맡고 있는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왼쪽)과 임문영 더불어민주당 디지털특별위원장. 이해민의원실 제공
1차 토론회는 오는 23일 '사회와 기술의 커뮤니케이션-사람 중심의 AI'를 주제로 열린다. AI기본법을 비롯해 디지털 포용성, 디지털 가이드, 윤리, 시민참여방식, 지향할 가치 보호 방법 등 사람들이 AI를 잘 활용하기 위한 방법과 법·제도에 대해 폭넓게 논의할 예정이다.
토론회는 공동 의장인 이해민 의원과 임문영 위원장이 모더레이터를 맡아 온·오프라인 병행 개최된다. 1차 토론회 현장 패널로는 이원태 전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과 윤석원 테스트웍스 대표, 권오현 빠띠 이사장 등이 참석한다. 그외 기업·학계 전문가들은 영상회의를 통해 의견을 개진한다.
이어 '새 정부의 기술 리더십-AI 거버넌스 어떻게 구성해야 하나', '성장동력과 생태계-성장과 도전을 위한 AI 혁신'을 주제로 토론회가 두 차례 더 열린다. 행정·외교·정부조직·연구개발·인재양성 등 기술 리더십 확보 방안과 기업지원·육성·투자·전환성장펀드 등 성장 전략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AI전환 연대회의는 제21대 대통령 선거 전인 5월 말 새 정부 AI 정책의 토대로 활용할 수 있는 'AI전환 선언문'을 발표할 계획이다.
이해민 의원은 “AI는 기술 영역을 넘어 정치권·산업계·학계 등 모든 분야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야 할 국가 전략의 중심축”이라며 “세 차례 시리즈 대담을 통해 사람 중심의 AI, AI 혁신 생태계 조성, AI 거버넌스 등 핵심 의제에 대한 실질적 정책 대안을 도출하고 그 결과를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정책 오픈소스'로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AI전환 연대회의는 범야권 정치인과 학계 전문가, 기업인이 함께 참여하는 초당적 협력기구다. 학계·산업계와 함께 국가 AI·디지털 전략 수립, 정부 디지털 혁신, AI 산업 생태계 조성 등을 위한 공동 정책 대안 수립을 목적으로 지난 2월 발족했다.
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