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1세대 벤처기업가, 이용태 전 삼보컴퓨터 회장 별세
서울대 물리학과 수석 입학
MPU 출시에 PC 개발 꿈꿔
자본금 1000만원으로 창업
한국에 본격 PC 시대 열어
두루넷으로 인터넷 대중화
국내 기업 최초 나스닥 상장
이용태 삼보컴퓨터 명예회장. [매경DB]
대한민국 1세대 벤처기업가, 국내 최초의 개인용 컴퓨터(PC) 개발자이자 초고속 인터넷의 선구자로서 한국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큰 족적을 남긴 이용태 삼보컴퓨터 명예회장이 14일 별세했다. 향년 92세.
고인은 1933년 경북 영덕군에서 4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서울대 물리학과를 수석으로 입학한 뒤 특이하게 수학 학원 강사이자 수학 참고서 저자로 활약했다. 그러다 1966년 홀연히 미국 유학을 떠나 유타대 대학원에서 통계물리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에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원과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부소장을 역임하며 본격적으로 국내 정보기술(IT) 업계에서 활약했다. 이 시기 컴퓨터에서 한글을 입출력할 수 있는 터미널 시스템을 최초로 개발했으며, 국내 정부·공공기관의 행정 시스템 전산화도 주도했다.
컴퓨터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눈여겨보던 고인은 1980년 청계천에서 삼보컴퓨터의 전신인 삼보전자엔지니어링을 설립했다.
“마이크로프로세서(MPU)가 처음 나왔을 때 ‘이제 우리도 컴퓨터를 만들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는 그는 KIST 재직 당시 개발계획서를 들고 대기업을 찾아 다녔지만, 당시 고인의 말에 귀를 기울인 곳은 없었다. 국산 컴퓨터를 생산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칠 수 있다고 우려한 고인은 결국 자본금 1000만원으로 창업에 뛰어들었다.
자본금 1000만원으로 탄생한 이 회사는 1981년 대한민국 최초의 국산 상용 PC인 ‘SE-8001’을 출시했다. 당시 상공부로부터 국내 유일의 PC 생산업체로 지정받고 같은 해 11월 캐나다에 수출을 시작하면서 삼보는 본격적인 PC 전문 업체로 발돋움하게 된다.
이어 1982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던 애플2 컴퓨터의 호환 기종 ‘트라이젬20’을 생산하며 업계에 이름을 알렸다. 이후 삼성전자와 금성사, 대우전자 등 대기업도 PC 생산에 뛰어들게 된다.
고인은 한국에 본격적인 PC 시대를 연 주역으로 꼽힌다. 삼보컴퓨터 역시 1990년대에는 ‘국민 PC’ 기업으로 불리며 연매출 1조원에 육박하는 국내 대표 IT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1999년에는 PC 산업 종주국인 미국에서 저가형 컴퓨터 ‘e머신즈’로 저가 시장 점유율 1위, 전체 시장 점유율 3위까지 달성하는 쾌거를 이뤄냈다.
고인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데이터통신을 위한 전용 망이 필요하다는 생각에 1982년 한국데이타통신(데이콤)을 설립하고 데이터 통신망 구축에 나섰다.
1996년에는 당시 한국전력과 함께 국내 최초의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한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사) 기업 두루넷도 만든다. 국민 모두가 가정에 보급된 케이블TV망으로 안방에서도 인터넷을 즐길 수 있게 하자는 생각으로 출범한 두루넷은 1990년대 ‘IT 강국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 주역으로 지금까지 회자된다. 이후 1999년 두루넷은 미국 나스닥(NASDAQ) 상장에도 성공한다.
그러나 PC 시장의 성장이 둔화하고 실적이 악화되면서 2005년 삼보컴퓨터는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고인은 이후 공익단체 ‘박약회’ 회장으로 활동하며 군인과 학생들을 위한 인성교육과 시골 마을에서 현대식 향약을 실천하는 운동에 매진했다. 박약회 교육을 수료한 인원만 100만명이 넘는다. 2021년에는 당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정보통신 특별공로상을 받았다.
유족으로는 부인과 장남 이홍순 전 삼보컴퓨터 회장, 차남 이홍선 전 두루넷 부회장이 있다. 빈소는 고려대 안암병원, 발인은 18일 오전 7시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