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 "무지하면 공공·무료·무조건 투자 외쳐"
"AI 발전 가장 큰 걸림돌은 이재명"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14일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발표한 인공지능(AI) 산업 육성 비전 발표에 대해 "또 하나의 K-엔비디아 시즌 2냐. 제발 모르면 좀 가만히 계시라"고 비판했다.
안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이재명 후보의 AI 공약, 또 하나의 'K-엔비디아 시즌2' 인가요?'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고 "(이 전 대표가) 과연 AI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무지하면 공공, 무료, 무조건 투자만 외치는 것"이라며 이같이 비판했다.
이 전 대표는 이날 AI 투자 100조원 시대를 열겠다며 ▲대통령 직속 국가AI위원회 기능 강화 ▲국가 AI 데이터 집적 클러스터 조성 ▲기업 연구개발을 위한 공공 데이터 민간 개방 ▲글로벌 AI 공동투자기금 조성 ▲AI 분야 'STEM' 교육 프로그램 도입 ▲지역 거점대학 AI 단과대 설치 ▲AI 규제 합리화 ▲AI 국가 프로젝트 '모두의 AI'(한국형 챗GPT) 추진 등의 공약을 발표했다.
연합뉴스
안 의원은 한국형 챗GPT의 전 국민 무료 사용과 관련해 "(경기)지사 시절 수수료를 없애겠다며 만들었던 공공배달앱을 떠올리게 한다. 제가 당시에 정부가 할 일은 시장 독과점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일이며, 정부와 기업이 할 일은 따로 있고 공공이 직접 배달앱 만드는 일에 개입하는 건 아니라고 했는데 돌아온 건 모독적인 언사밖에 없었다"며 "결과는 모두가 아시다시피 경기도 공공앱은 불편한 사용성과 낮은 경쟁력으로 '찬밥' 신세가 되고 말았다"고 비판했다.
AI 사용으로 인한 노동시간 축소에 대해서도 "AI는 기회이자 위협이며, 변화 그 자체다. 일자리를 새로 만들기도 하지만, 일자리가 사라지기도 한다"며 "결국 AI 시대는 피나는 구조개혁을 동반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안 의원은 이어 "AI만 일을 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과 같이 일을 하는 동반자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며 "기술만 외치고 장밋빛 미래만 외친다고 되는 일이 아니다"고 역설했다.
안 의원은 특히 "(이 전 대표가) AI 전용 신경망처리장치(NPU) 개발과 실증을 지원하겠다고 하면서 정작 칩 개발에 꼭 필요한 52시간 노동시간 특례는 반대한다"며 "개발하고 싶어도 못 하게 해 놓고 어떻게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는 것이냐. AI 발전의 가장 큰 걸림돌이 이재명 후보 본인이라는 사실을 알고 계시냐"고 따져 물었다.
아울러 안 의원은 "페이스북에 좋은 말만 적기보다는 본인이 제안하고 정작 회피한 'AI 토론', 저와 정식으로 한번 해보시는 게 어떤가"라며 이 전 대표에게 토론을 거듭 제안했다.
이기민 기자 victor.lee@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