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7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기자실에서 국정 핵심과제 3월 실적 및 4월 계획을 브리핑하고 있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부처별로 분산된 인공지능(AI) 관련 정책을 전담하는 별도 부처를 설립해야 한다는 일각의 요구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대신 과기정통부를 AI를 비롯한 국가전략기술을 총괄하는 부총리급 핵심 부처로 확대 개편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유상임 장관은 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국정핵심과제 3차 국민브리핑을 열고 “AI 부문만 떼어내 (별도) 부처를 만든다는 것은 개인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유 장관은 “AI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따라 국가 명운이 걸려있다”면서 “과기정통부가 AI와 바이오·양자 등 중요한 국가 아젠다를 이끄는 주무부처인 만큼 다음 정부에서는 조직을 확대 개편하고 부처 장관을 부총리급으로 격상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국회와 학계를 중심으로 AI 시대 효과적 정책 추진을 위해 AI 분야를 전담하는 대부처 신설 등 정부 조직개편 필요성이 제기된 바 있다.
이날 유 장관은 조기 대선 국면 속에서도 범부처 기술사업화 기반 마련 및 AI 기본법 하위법령 제정 등 흔들림 없이 정책 과제를 이행해 다음 정부에 이양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유 장관은 “제 임기도 2개월 남짓 남았지만 과학기술정보통신 분야 발전은 멈출 수 없다”면서 “연구 성과를 산업으로 연결시키는 기술사업화 생태계를 다음 정부가 이어나갈 수 있는 기반을 꼭 만들고 나가겠다”고 다짐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달 범부처 기술사업화 비전을 발표해 ICT·바이오·소재 등 분야별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7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기자실에서 국정 핵심과제 3월 실적 및 4월 계획을 브리핑하고 있다.
또 유 장관은 이달 AI기본법 시행령 초안 및 가이드라인 공개를 앞두고 최소한의 규제 원칙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고역량 AI 관련 사업자 책무 범위에 대해서도 규제 높낮이가 다르지 않게 다각도로 의견을 청취하겠다고 밝혔다.
AI 인프라 구축에 필수인 그래픽처리장치(GPU) 수급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추경) 필요성도 재차 강조했다. 유 장관은 “올해 GPU를 확보하지 못하면 AI 분야에서 선진국보다 4년은 더 뒤쳐지는 형국이 될 것”이라며 “올 한 해가 GPU 보릿고개가 되지 않도록 1차 추경이 빨리 진행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유 장관은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방침에 대한 대응 방안에 대해서도 “디지털 관련 관세, 망 사용료와 공공부문 클라우드 보안 등 여러 상황에 있는데 과기정통부는 전체적 관점에서 국익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면밀히 대응해 접근할 예정”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과기정통부는 이 외에도 이달 주요 추진계획으로 AI 바이오 확산 전략, 양자종합계획 수립, 3200억원 규모의 저궤도 위성통신 연구개발(R&D) 사업 본격화 등을 꼽았다. 마지막으로 유 장관은 “이달 24일 국내 최대 ICT 전시회인 월드IT쇼(WIS 2025)를 통해 우리 ICT 산업 성과를 공유하고 기술 교류의 장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박준호 기자 junho@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