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부처 기술사업화, 남은 2개월 간 기반 만들 것"
AI 바이오 확산전략·AI+SMR 이니셔티브 등도 추진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7일 오전 세종특별자치시 정부세종청사 기자실에서 '2025년도 과기정통부 핵심과제 3월 실적 및 4월 계획'을 브리핑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2025.4.7/뉴스1
(세종=뉴스1) 김정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헌정 사상 두 번째로 탄핵돼 헌정 중단을 맞은 불행한 일이 발생했습니다. 대선을 2개월 내에 치러야 해 제 임기도 2개월 남짓 남은 걸로 예상됩니다. 그렇지만 남은 기간 최선을 다할 것을 말씀드립니다."(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유상임 장관이 7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4월 추진 핵심과제 계획 대국민 보고 브리핑을 열고 남은 임기 동안 현안 과제들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AI 글로벌 3대 강국 도약 △핵심 전략기술 신속 확보 △디지털 안정성 및 민생 지원 △선도형R&D 및 범부처 기술사업화 혁신 등 핵심과제의 주요실적 및 4월 추진계획을 보고했다.
AI분야에서는 4월 중 AI기본법 하위법령 정비단을 통해 마련된 기본법 시행령 관련 의견을 수렴하고 '국가 AI역량 강화방안'의 후속 세부 과제를 추진한다.
이날 유 장관은 AI 역량 강화를 위해 필수적인 그래픽처리장치(GPU) 확보를 위해 추경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유 장관은 "GPU 구매가 아주 시급한 시점인데 올해 GPU가 거의 들어올 공산이 없는데, 빨리 추경이 진행돼 GPU 없이 비어있는 보릿고개가 생기지 않았으면 좋겠다"며 "AI 전환(AX)에서는 9개월 뒤처지는 게 3년 뒤처지는 꼴이 되는데, GPU 때문에 1년이 뒤처지면 2030년까지 따라잡기 힘들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핵심 전략기술 관련해서는 바이오 분야의 'AI 바이오 확산전략'과 차세대 원자로 AI 도입을 위한 'AI+SMR 이니셔티브'(가칭) 수립을 추진한다. 오는 9일에는 '국가전략기술 미래대화'를 개최해 차세대 성장동력 및 국가아젠다 발굴에도 나선다.
디지털 안정성 및 민생 지원을 위해서 3200억 원의 저궤도 위성통신 R&D 사업을 본격 개시할 방침이다. 6G 국제표준 기반의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을 국내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해 핵심기술을 자립화하고 글로벌 시장진출 역량을 확보할 계획이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7일 오전 세종특별자치시 정부세종청사 기자실에서 '2025년도 과기정통부 핵심과제 3월 실적 및 4월 계획'을 브리핑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2025.4.7/뉴스1
나아가 선도형 R&D 범부처 기술사업화 생태계 혁신을 위해 '범부처 기술사업화 비전'을 발표하고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 수립에도 본격 착수한다.
유 장관은 "범부처 기술사업화 비전은 지난해 9월부터 초안을 마련하고 사업을 추진해 오고 4월 초에 비전 선포식을 가질 예정"이라며 "범부처 기술사업화가 제대로 돌아간다면 현대 OECD 바닥 수준인 우리 수준을 OECD 중상위권으로 올려놓을 수 있다는 믿음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범부처 기술사업화 생태계 조성은 지난 30여년간 정부가 꼭 해주었으면 하는 그런 내용이었는데 장관으로 재직하는 나머지 기간 동안 기반을 꼭 만들겠다"며 "중기부와 산업부와 조금만 더 협업을 한다면 비전 선포까지는 발표하고 떠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유 장관은 "우리 정부는 지금 대선 국면에 접어들었지만 과학기술은 대한민국을 앞으로 끌고 나갈 수 있고 미래를 담보할 일이기 때문에 어떤 것도 멈출 수 없다"며 "과기정통부는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올해 업무계획을 신속하고 차질 없이 이행하고 다음 정부에 이양하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Kris@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