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측 “尹에 독대 요청”… 대통령실 “요청 받은적 없다” 엇박자
윤석열 대통령이 22일 2박 4일 간의 체코 순방을 마치고 성남 서울공항으로 입국하며 마중 나온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와 악수를 나누고 있다. 2024.09.22 송은석 기자 silverstone@donga.com
윤석열 대통령이 22일 오전 6시경 체코 공식방문을 마치고 귀국했다. 서울공항에는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와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등이 마중을 나왔다. 윤 대통령은 이 장관과 악수를 나눈 뒤 50초 가량 대화를 나눴지만 한 대표와는 대화 없이 악수만 하고 이동했다. 앞서 19일 윤 대통령의 출국길에서도 한 대표와의 대화는 없었다. ‘윤-한 갈등’ 여파로 냉랭해진 당정관계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장면이라는 이야기가 나왔다.
이런 가운데 윤 대통령은 24일 한 대표 등 여당 지도부를 용산으로 초청해 만찬 회동을 할 예정이다. 여권에선 이날 만찬이 윤-한 갈등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 대표 측 인사는 22일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한 대표가 24일 공식 만찬 직전에 윤 대통령과의 독대를 희망한다는 요청을 대통령실에 했다”며 “윤 대통령과 한 대표 간의 독대를 통해 여야의정 협의체 문제 등 현안에 대해 밀도 있는 논의가 이뤄지는 게 자연스러운 모습”이라고 밝혔다. 이어 “대통령실과 여당 지도부가 단체로 밥만 먹고 사진만 찍는다면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한 대표는 윤 대통령과 독대가 성사될 경우 여야의정 협의체 구성을 위해 대통령실과 정부의 전향적인 입장을 건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 대표는 2025학년도 의대 정원 증원 재조정에 대한 정부의 유연한 입장을 강조하고, 정부와 의료계 간 책임 공방 중단, 통상적인 사직 전공의에 대한 수사 유예 등을 언급할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대통령실은 2026학년도 이후가 아닌 2025학년도 의대 정원 논의는 수시 모집이 시작한 상태에서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한 대표의 대통령 독대 요청에 대해서도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요청을 받은 적이 없다”며 엇박자를 보였다.
만찬에서 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수수 의혹 및 공천 개입 의혹에 대한 대응책이 도마에 오를지도 관심이다. 최근 한 대표는 언론 인터뷰에서 거듭 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수수 의혹에 대한 대국민 사과를 요구하는 등 각을 세우고 있다. 하지만 대통령실은 대국민 사과 등에 대해선 검토하고 있지 않는 분위기다.
한 대표가 요청한 독대가 이뤄지지 않고, 당정 간 불통이 이어진다면 최저치를 찍은 윤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과 국민의힘 지지율이 동반 하락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 친한계(친한동훈계) 의원은 “윤 대통령의 불통이 지지율 하락을 견인하고 있는 것”이라며 “윤 대통령의 변화가 없으면 지지율을 반등시키진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황형준 기자 constant25@donga.com
이상헌 기자 dapaper@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