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日정부 전달 승선자명부에 1만8천300명 기재…동일인 추정 중복자 다수
경과보고회 개최…과거 피해진상규명위원회 자료와 교차분석도
행안부 "새롭게 피해자로 나타난 분들에 대해 어떤 형태로든 보상 마땅"
![]()
우키시마호 명부 분석 경과보고회 (서울=연합뉴스) 박건영 기자 =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심규선 이사장이 13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우키시마호 승선자 명부 분석 유족 경과보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우키시마호 폭침 사건은 1945년 8월 24일 일본에 강제동원됐다가 귀국하던 조선인 노동자 등을 태워 부산으로 향하던 배가 폭발사고로 침몰한 사건이다.2025.8.13 pu7@yna.co.kr
(서울=연합뉴스) 차민지 기자 = 정부가 일본 정부로부터 받은 우키시마호 승선자 1만8천여명(단순합산) 명부를 토대로 피해자 규모와 신원을 확인하는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중복자 등을 제거하기 위해 진행 중인 심층분석을 연말까지 마무리해 승선자 규모를 추정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사망자나 행방불명자, 부상자 등 피해자 추정치도 나올 것이라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행정안전부는 13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우키시마호 승선자 명부 분석 현황을 유족들에게 설명하는 경과 보고회를 개최했다.
행안부는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을 통해 전문가 용역으로 명부 분석을 진행해 올해 5월 기초분석과 목록화 작업을 완료했다.
앞서 행안부는 일본 정부가 외교부에 제공한 우키시마호 승선자 명부 75건을 작년 9월부터 올해 3월까지 3차례에 걸쳐 전달받아 분석해왔다.
1차 자료 19건이 기본 명부이고, 2차 자료 34건은 이를 여러 기관이 복제·정리한 명부, 3차 자료 22건은 공문 표지 등 명부가 아닌 자료로 분류됐다.
행안부에 따르면 1차 명부는 1950년 일본 정부가 공식 발표한 승선자 3천735명, 사망자 524명의 근거자료로 추정된다. 일본 정부가 정리한 승선자 신상정보를 최초로 확인할 수 있는 자료라는 데 의의가 있다.
![]()
[행정안전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1차 명부 19건에 수록된 인원은 중복을 포함해 6천393명이고, 2차 명부 34건에 수록된 인원은 중복을 포함해 1만1천908명이다.
행안부는 1차와 2차 명부에 수록된 1만8천301명에 대해 중복자를 제거하고 오번역을 수정하는 심층분석 작업을 6월부터 진행 중이다.
이름은 같은데 주소가 다르거나 나이가 다른 경우 등이 다수 포함돼 있는데 이를 같은 사람으로 볼 것인지 여부를 판단해야 하기 때문이다.
심규선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이사장은 "명부를 분석한 결과 가장 큰 특징은 명부 간 중복이 엄청나게 많다는 것과 수록된 이름 대부분이 창씨 개명된 이름이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심층분석을 거쳐 추산한) 승선 인원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고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최근접치가 될 것"이라며 "제3의 명부가 나오면 달라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심층분석은 올해 12월까지 완료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통해 그간 불분명했던 우키시마호 승선자 규모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행안부는 설명했다.
행안부는 일본 정부가 승선자 명부와 함께 사몰자 명부도 제공한 만큼, 심층분석을 거치면, 사망자나 행방불명자, 부상자 등 피해자 규모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아울러 공부(옛 제적부) 등을 활용한 명부 수록자의 귀환·사망 여부 조사와 과거 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자료와의 교차분석도 내년 상반기까지 수행해 명부의 신뢰성을 높일 계획이다.
행안부는 분석 결과 확인된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위로금 등 지원방안을 검토하고, 유가족이 승선 여부 확인을 요청할 경우 관련 정보를 제공할 방침이다.
명부 분석이 끝나 피해자로 확정이 되면 바로 피해 구제 절차에 착수하느냐는 질의에 장동수 행안부 과거사관련업부지원단장은 "'대일항쟁기강제동원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희생자등지원위원회' 업무가 2015년 종료됐다"며 "(당시) 신청하지 않은 분에게도 위로금을 지급할 수 있는지는 봐야한다"고 답했다.
이어 "다만 새롭게 나타난 분들에 대해서는 어떠한 형태로든지 보상하는 게 마땅하다고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
[행정안전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우키시마호는 광복 직후 귀국하려는 재일 한국인들을 태우고 부산으로 향한 일본 해군 수송선으로, 1945년 8월 22일 아오모리현 오미나토항을 출발해 24일 교토 마이즈루항에 기항하려다 선체 밑부분 폭발로 침몰했다.
일본은 우키시마호가 해저 기뢰를 건드려 폭침됐으며 승선자 3천735명 중 524명이 숨졌다고 발표했다.
반면 유족들은 일본이 고의로 배를 폭파했고, 승선자 7천500∼8천 명 중 3천 명 이상이 숨졌다고 주장했다.
일본 정부는 그동안 승선자 명부가 없다고 주장해왔으나 작년 5월 일본 언론인 후세 유진(布施祐仁)의 정보공개 요청으로 명부의 존재가 알려졌고, 내부 조사를 거쳐 한국 측에 넘어왔다.
chacha@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번주 포인트랭킹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