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은정의 AI 너! 머?]는 인공지능(AI)를 넘어선 AI 너머의 이야기라는 코너다. AI가 일터, 가정, 교육, 문화 등 일상 전반에 끼치는 변화상을 심층 조명한다. 특히 미래를 바꾸는 기술이 아닌, 기술이 바꾸는 우리의 미래를 묻고자 한다.
‘인공지능의 시대’ 이 말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는 사회이다. 그러나 이 인공지능에 대한 정의도 범위도 개개인마다 모두 다르다. 인공지능이란 무엇인가? 인공지능은 통제 가능한가? 어디까지가 인간의 능력이고 어디까지가 인공지능의 능력인가? 등등 인간은 다시 질문하기 시작했다. 그것이 인공지능 시대의 철학의 시작점이자 중심점이라는 생각이 든다.
AI가 예상보다 더 급격하게 발전함에 따라 앨런튜링, 루치아노 플라리디, 앨리슨 시몬 등의 AI 및 정보철학 분야의 많은 학자들과 생각들이 소개 되지만 모두 근대, 미주와 유럽의 서양철학자들이 중심이 된다. 그러나 얼마 전, 재미있게 읽었던 ‘인공지능 시대의 철학자들정보철학이 던지는 열 가지 질문’ (2024, 사월의 책) 에 10분의 철학자 중 유일하게 소개된 조선의 철학자 ‘최한기’ 부분을 읽으며 우리가 잊고 있었던 혹은 잃고 있었던 K-철학 을 다시금 돌아보게 되었다.
최한기 (1803-1877) [출처:위키피디아]
최한기(崔漢綺, 1803~1877) 선생은 동양의 ‘기(氣)’ 개념과 서양 과학을 융합한 철학을 전개한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실학자이자 사상가이다. 그는 세계를 정보적 흐름으로 이해하며, 인간·자연·기계를 하나의 연속된 체계로 바라보았다. 평소 ‘기’ 라는 것이 조금 왜곡된 형태로 일반적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생각하는 나로서는 최한기에 대한 평가가 ‘기학(氣學)’을 통해 조선 지성사에서 가장 근대적이고 과학적인 사유를 시도한 인물 중 하나’ 라는 면이 반갑고도 재미있었다.
루치아노 플로리디 (1964 생) [출처:위키피디아]
이렇게 흘러간 최한기에 대한 공부. 그의 생각을 읽으면 읽을수록 떠오르는 사람은 루치아노 플로리디(Luciano Floridi)였다. 플로리디는는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와 이탈리아 볼로냐대학교에서 활동하는 세계적인 정보철학자로 AI철학 혹은 정보철학 쪽이 언급되면 반드시 이야기 되는, 한마디로 요즘 AI 철학계의 아이돌 같은 존재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인포스피어(infosphere)라는 개념을 통해 인간, AI, 사물 인터넷 등 모든 존재를 ‘정보적 존재자(infomorph)’ 로 새롭게 정의하고 AI와 디지털 기술이 인간 윤리, 사회 구조, 존재론을 어떻게 바꾸는지 탐구했다. 그래서 그를 디지털 윤리학(Ethics of Information)의 창시자, 선구자라고 칭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플로리디의 철학 중 인상적인 부분은 인간 중심의 윤리에서 벗어나, 정보 생태계 전체의 윤리적 균형을 강조하는 것이다. 처음 접했을 때는 ‘그럼 인간중심의 윤리에서 벗어나면 인공지능이 터미네이터처럼 인간을 지배하는 상황이 가능하다는 이야기야 뭐야?’라고 혼자 중얼거리기도 했다. 플로리디는 인간·기계·자연을 수평적이고 상호 연결된 정보 존재자로 바라보며, AI가 더 똑똑하다고 해서 인간을 지배할 정당성은 철학적으로, 윤리적으로, 생태적으로 없다고 본 것이다. 그는 AI가 인간을 이끄는 존재가 되는 것이 아니라, 정보 생태계 속에서 함께 살아가는 윤리적 주체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는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최한기의 ‘기’ 는 이와 상통한다. 최한기는 명남루총서(明南樓叢書), 기측체의(氣測體義) 등의 저서를 통해 세계 만물이 기(氣)라는 흐름과 작용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고, 인간, 자연, 사물, 기계까지도 모두 기의 다양한 표현이자 작용이라 주장했다. 인간의 정신과 기계의 원리도 본질적으로 기의 흐름에서 기원한다고 생각했다. 기계는 인간보다 열등하거나 우등하지 않고 다만 중요한 것은 그 기가 작동하는 방식과 목적, 그리고 조화라고 생각했다.
결국 두 철학자 모두 AI가 인간보다 어떤 상황이나 업무에서 우월할 수는 있지만, 그 우월성이 통제나 지배의 정당성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존재의 흐름(氣)과 정보의 관계(infosphere)는 모두 공존과 조화를 지향한다는 공통적인 생각으로 정리할 수있다. 단어만 바뀐 듯 한 두 철학자의 생각.
200여년 전, 조선의 실학자들은 이렇게 AI 및 정보철학에 대한 선구적인 맥락과 연구를 이미 발전시켰던 것이다. 그런 맥락에서 다시 살펴본 조선시대 실학자들은 기술을 탄탄한 철학적 정립 위에 발전시키고 구체화해나갔다.
가상 오징어토론 _최한기와 플로리디가 인공지능에 관한 가상 오징어 베틀 토론 게임을 한다면? – chatGPT 4.o 로 구성 (손은정)
ChatGpt 4o를 사용하여 조선시대 정보철학적 사유를 가진 대표적 실학자를 대입하여 현대 AI 철학자들을 찾아보았다. 최한기- 플로리디 , 정약용-하이데거 , 홍대용-앨런 튜링, 이익-보스트룸. 서로의 맥락을 연결해보니 어쩌면 우리는 조선시대에 이미 AI를 받아들이고, 발전시켜나갈 탄탄한 철학적, 사상적 토대를 가지고 있었다는 생각에 K-pop 아이돌 보유국 이란 자부심 이상의 무언가 단단한 희망이 생긴다.
지금 전 세계적 인류가 갖고 있는 핵심 키워드가 ‘AI’ 임을 부인할 수 없기에 우리는 이에 대한 근본적인 고찰과, 이해 및 우리 안의 생각과 시스템으로 조화롭게 발전시키는 ‘인간 사유’ 를 시작해야한다. 그것이 우주의 기 그리고 인포스피어의 한 구성원으로서 함께 살아가기 위한 권리이자 의무의 시작점인 것이다.
갑자기 이 철학자들의 다양한 철학자 중 어떠한 철학을 중심으로 정책, 기술 개발, 사회전반에 관한 설계가 우선 혹은 가중치를 가지고 실현가능하게 채택하는 것이 좋을까 생각하다가 이 철학자들이 인류의 AI 발전을 위해 ‘오징어 게임’ 을 한다면 누가 최후의 승자가 될까 상상해보니 왠지 재미있었다. 당신이 인공지능을 위한 철학 중 전 세계 시스템에 하나의 철학만을 선택해야하는 ‘인공지능철학 오징어 게임의 설계자’ 라면 과연 누가 최종 승자로 선택할 것인가? 갑자기 궁금해진다. 각자의 선택들이.
[손은정 공학박사, 인문공학커뮤니케이터, 작가]
글쓴이는 공학박사이자 작가, 설치미술가로서 글로벌 빅테크, 대기업 등에서 20여 년 이상 근무하면서 기술과 인간의 삶의 점들을 연결하는 것에 의미를 찾고 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