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베스트 LLM' 개발 위한 프로젝트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추진 계획. 과기정통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참여할 국내 정예팀을 지난 20일부터 오는 7월 21일까지 공모한다고 밝혔다. 그간 가칭 월드베스트LLM(WBL)으로 발표해온 프로젝트에 정식으로 착수한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과 함께 추진하는 이번 공모는 실력 있는 국내 AI 기업·기관 중심의 정예팀을 대상으로 하며 컨소시엄 구성도 가능하다. 미래 AI 인재 육성 관점에서 대학·대학원생 참여를 필수로 한다. 최대 5개 팀을 선발해 단계평가로 경쟁형 압축할 계획이다.
6개월 이내 출시된 최신 글로벌 AI모델 대비 95% 이상의 성능을 목표로 한다. 참여할 정예팀이 구체적인 개발 전략과 방법론을 주도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목표·방법론 등은 단계평가마다 무빙타깃(Moving target) 방식을 도입해 급변하는 AI기술환경에 대응해나간다. 국민 AI 접근성 증진, 공공·경제·사회 AI전환 지원 등의 국내 기여계획을 제시하도록 해 선정평가에 반영한다. 참여기업 규모와 오픈소스 수준에 따라 정예팀의 매칭 비율을 차등화할 예정이다.
참여할 정예팀이 독자 AI 기반모델 개발에 필요한 희망 자원을 자유롭게 제시하되 추후 평가 등으로 적정규모 검토 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그래픽처리장치(GPU)의 경우 내년 상반기까진 민간 보유 GPU를 임차해 지원(1576억원 규모)하고 이후엔 정부 구매분(추경) 1만장을 활용한다. 데이터는 팀당 공동구매 연간 100억원, 구축·가공 연간 30~50억원을 지원한다. 또 해외 우수 연구자 유치를 위한 인건비·연구비·체재비 등을 연간 20억원까지 매칭 지원한다.
과기정통부는 프로젝트 지향점에 걸맞은 정예팀 선정을 위해 다양한 분야의 국내외 AI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평가위원회를 구성한다. 정예팀이 오픈소스를 지향해 개발한 독자 기반모델을 국내 AI 생태계에 확산해나간다는 구상이다. 또한, AI안전연구소와 협업해 안전성 검증을 뒷받침하고 'K-AI 모델', 'K-AI 기업' 등 명칭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해 글로벌 공신력 강화와 글로벌 시장 진출 가속화를 도모한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넘어 AI 시대 대한민국의 기술주권 확보, 모두의 성장을 도모하는 생태계 구축이 목표"라며 "국내 최고 수준의 AI 정예팀들이 도전해 글로벌 수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확보·확산함으로써 대한민국이 AI강국으로 도약하는 '모두의 AI' 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팽동현기자 dhp@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