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에 미국산 반도체 장비 공급을 제한하는 방침을 통보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 수출 통제 부문 책임자인 제프리 케슬러 산업·안보 담당 차관은 이번주 삼성전자·SK하이닉스, 대만 TSMC에 이 같은 방침을 전했다.
케슬러 차관는 3개사 중국 공장에 미국 장비 공급 시 매번 허가 신청을 하지 않아도 되는 현재 조치를 철회하길 원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WSJ는 전했다.
미국 정부는 조 바이든 전 대통령 시기에 중국 반도체 공장에 미국산 첨단 반도체 장비 수출을 사실상 금지했다. 다만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 등 주요 기업의 중국 공장은 그 적용을 유예했다.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 규정을 통해 미국 정부가 사전에 승인한 기업의 지정된 품목에 대해서는 별도 심사없이 수출을 허용하는 방식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VEU로 인정받아, 미국산 장비를 반입하는데 큰 문제가 없었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과 쑤저우에서 각각 낸드플래시 생산 공장과 반도체 후공정(패키징) 공장을 운영 중이고, SK하이닉스는 중국 우시에 D램 공장 및 파운드리 자회사(SK하이닉스시스템IC), 충칭에 패키징 공장, 다롄에 인텔로부터 인수한 낸드 공장을 가동 중이다.
도널드 트램프 행정부의 이번 통보는 한국과 대만 반도체 기업의 중국 공장에 미국산 첨단 반도체 장비가 들어가는 것을 강하게 통제하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시행되면 허가 절차를 통해 첨단 장비 반입까지 불허할 수 있다.
이번 방침은 트럼프 행정부 들어 미·중 무역 갈등이 심화하는 가운데 나온 것이라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중국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는 조치이나 국내 반도체 산업계가 피해를 입을 수 있어서다. 장비를 제 때 반입하지 못하면 공장 운영에 차질이 생긴다.
트럼프 행정부에서 VEU 제도를 폐지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국내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현재 상황을 파악하며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백악관 당국자들은 WSJ에 이번 방침이 미중 무역 갈등의 '확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며 중국이 대미(對美) 희토류 수출 통제에 '허가 시스템'을 적용한 것과 유사하다고 설명했다.
WSJ는 상무부 산업·안보국이 주도한 이번 방침이 미국 정부의 다른 부서 동의를 완전히 받은 상황은 아니기 때문에 최종 확정은 아니라고 부연했다.
삼성전자 시안 공장
SK하이닉스 우시 공장
권동준 기자 djkwon@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