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세종 청사. [헤럴드DB]
[헤럴드경제=고재우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0일 울산전시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인공지능(AI) 글로벌 협력기업 간담회와 울산 AI 데이터센터(DC)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AI 글로벌 협력기업 간담회는 SK그룹의 아마존 웹 서비스(AWS) 40억불 투자 유치를 포함해, 총 7조원 규모로 알려진 대규모 100㎿급 울산 AI DC 출범식을 계기로 마련됐다. 해당 AI DC 오는 9월 착공해, 오는 2027년 11월 41㎿급으로 우선 가동된다. 이어 2029년 2월 103㎿ 전체 가동될 예정이다.
이번 간담회에는 SK를 포함해 카카오, 네이버 클라우드, LG AI연구원, 삼성SDS, AI 스타트업 퓨리오사, 루닛 등 AI·플랫폼 기업이 참여했다.
우선 SK는 우리나라 AI산업 성장을 위해 AI 분야 수요 창출과 AI 스타트업 성장 지원, AI 국가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혁신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퓨리오사 AI는 국산 AI반도체 양산과 관련된 투자유치 현황과 향후 계획을 설명했다.
이어 카카오는 오픈AI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한 ‘일상 속 AI 서비스’ 확산 계획을 밝혔고, 삼성 SDS는 기업용 AI플랫폼과 설루션을 통한 글로벌 진출 노력을 소개했다. 루닛은 지난해 매출의 93%가 해외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해외 데이터 확보 등 정부의 실질적 지원이 필요함을 언급했다.
소버린 AI 확보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논의도 이어졌다. LG AI연구원은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해서는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중심의 생태계 경쟁력 강화 정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네이버 클라우드도 소버린 AI 확보를 위해 적극적인 투자가 중요함을 강조했다. 한국AI·SW협회도 세계적 수준의 거대언어모델(LLM) 보유가 필수적인 국가 과제가 됐다고 밝혔다.
아울러 행사에서는 국내 AI 기업들의 AI 기기·제품 서비스 시연도 마련됐다. 대규모 영상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석하고, 주요 내용을 정리해 주는 초거대 영상 이해 ‘AI서비스(트웰브랩스)’ 상품 이미지만 올리면 상세 페이지를 만들어주는 ‘AI커머스 서비스(스튜디오랩)’ 생성형AI 서비스를 구현하는 ‘국산AI반도체(리벨리온)’ 등 국내 AI 기술이 눈길을 끌었다.
한편 AI DC 센터 구축으로 인한 AI 컴퓨팅자원 공급 확대를 통해 다양한 AI 서비스 창출과 국가 전반의 AI 대전환이 촉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AI DC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민간의 노력을 지원해 나가기로 했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