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AI데이터센터 출범식 개최
이재명 대통령 "AI 데이터센터 건설 시작으로 과감한 세제 혜택 규제 혁신으로 민간투자 촉진 하겠다"
우리나라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의 핵심 인프라인 데이터센터가 20일 울산에서 첫 삽을 떳다.
이날 울주군 삼남읍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AI데이터센터 출범식에는 이재명 대통령을 비롯해 최태원 SK그룹 회장, 프라사드 칼야나라만 AWS 인프라 총괄 대표, 김두겸 울산시장 등과 함께 AI관련 기업 대표 등이 참석했다.
20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AI데이터센터 출범식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최태원 SK그룹 회장, 김두겸(오른쪽) 울산시장 등 내빈과 관계자들이 출범 선언 직후 박수를 치고 있다. 울산시 제공
행사에서 이 대통령은 영상검색 AI 모델 개발사 트웰브랩스, AI 기반 커머스·콘텐츠 기업 스튜디오랩, AI 반도체 개발사 리벨리온 등 스타트업의 기술 시연에 참석했고 리벨리온의 AI 반도체에 ‘AI 고속도로, 세계 3대 강국’이라는 문구로 사인을 남겼다.
이날 출범식은 전국 주요 지역에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건설하는 정부의 ‘AI 고속도로’ 정책의 첫 시발점이자 동남권 AI 인프라의 거점이 울산에서 비롯된 것을 의미한다.
센터 출범에 앞서 지난 15일 SK텔레콤은 세계 최대 클라우드 업체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울산광역시 미포 국가산업단지에 103MW(메가와트) 규모 AI 데이터센터를 짓는 내용의 투자 협력을 맺었다. 투자 규모는 7조 원대로 최신 그래픽처리장치(GPU) 6만 장을 수용할 수 있는 국내 최대 데이터센터다. SKT와 AWS는 향후 데이터센터 용량을 GW(기가와트)급으로 확대해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대 AI 허브로 키운다는 구상이다.
데이터센터가 들어서는 울산 미포산단 부지는 인근에 SK가스의 세계 최초 GW급 LNG·LPG 겸용 가스복합발전소가 있어 데이터센터 운영에 필수인 대규모 전력 수급이 쉽다. 또, 데이터센터 냉각에 LNG 냉열을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등 3대 주력 산업이 밀집한 울산 산업계의 인공지능 전환(AX)을 가속하는 AI 인프라가 될 것으로도 전망된다.
기존 데이터센터의 80% 이상이 몰려 있는 수도권 및 정부가 정책 지원을 편 광주 AI 데이터센터, 향후 데이터센터 건립이 거론되는 전북 새만금 지역 등 각 지역 거점과 연결돼 국가 AI 인프라를 구성하게 된다.
이 대통령은 “경부고속도로가 대한민국 산업화 성공을 이끌었던 것처럼 AI 시대의 고속도로를 구축하겠다”며 “AI 데이터센터 건설을 시작으로 과감한 세제 혜택과 규제 혁신을 통해서 민간의 투자를 촉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도 “울산은 AI 데이터센터를 통해서 정부 구상인 ‘AI 고속도로’의 강력한 새 엔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AI데이터센터 출범을 계기로 울산의 주력산업이 중화학공업 등 장치산업에서 AI 등 신성장 동력으로 전환하게 될 것”이라며 “대한민국 AI생태계가 울산에서 꽃 필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