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청 누리호 추가발사 논의 거쳐 신규 R&D 공개
아리랑 6호 실을 수 있는 탑재체 덮개 개발…경사궤도 진입 실증
한국형 우주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5일 오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다.. (항공우주연구원 제공) 2023.5.25/뉴스1 ⓒ News1 장수영 기자
(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우주항공청이 현행 주력 발사체인 누리호의 6차 이후 추가 발사를 국책 연구개발(R&D)로 보장한다. 또 재사용이 가능한 탑재체 덮개(페어링)를 개발·적용, 국방 시험위성 2기도 2028년 누리호로 쏘아올릴 계획이다.
20일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KASP)와 국회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 최형두·황정아 의원실이 국회에서 개최한 '민간발사체 산업 활성화 토론회'에서 우주청은 이같은 내용의 '누리호 헤리티지 사업'을 공개했다.
올해 말 4차 발사를 앞둔 누리호는 2027년까지의 반복 발사를 통해 신뢰성을 쌓고 있다. 일명 누리호 고도화 사업으로, 체계종합기업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다.
이와 별도로 차세대 발사체 사업도 추진 중으로, 개발이 2032년 완료된다. 5년간의 발사체 일감 공백이 있기 때문에 업계에서는 누리호 추가발사를 지속해서 요청해 왔다.
우주청은 내부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업계의 열악한 상황을 돕는 방안을 모색했다. 그 결과 우리 위성은 우리 발사체로 쏜다는 원칙 하에 누리호 헤리티지 사업을 기획하게 됐다.
사업비는 1578억 원이며 사업 기간은 2026년부터 2028년까지다.
우주청은 이 과정에서 국방부와의 협력을 통해 시험용 국방위성 2기를 누리호로 쏜다는 계획이다. 또 다중위성 탑재 기술, 군에서도 관심 있는 경사궤도 발사 이력 확보 등을 함께 추진한다.
정혜경 우주항공청 우주항공산업정책과장은 "지금 누리호 페어링 용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개량해야 한다. 또 그간 누리호가 쏘아오던 태양 동기 궤도가 아니라 경사 궤도를 목표로 하기 때문에, 우리 발사체의 투입 능력도 실증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민군 협력을 통해 우리 위성을 우리 발사체로 쏜다는 기틀을 마련할 수 있다. 민군 협력 겸용으로 (발사체를 개발하면) 한정된 우주개발 재원도 효율적으로 쓸 수 있다"며 "경사궤도 수요가 있는 위성도 다수 있기 때문에 향후 누리호 상용화의 계기가 열린다"고 기대했다.
우주청은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이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올해 예산이 반영돼야 내년부터 제작에 들어가 2028년 발사가 가능하다.
한편 유럽 발사체에 발사를 의뢰한 우리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 6호는 현지 기술적 이슈 등으로 일정이 연거푸 미뤄졌다. 원활한 위성 운용을 위해 발사체 주권이 확보돼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받고 있다.
이번 사업으로 누리호 페어링이 개량되면 아리랑 6호와 같은 중형플랫폼 위성을 2기까지 탑재할 수 있다.
lego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