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청, 사업 변경 추진…기재부에 예산 3000억원 증액 신청
"위성통신에 발사 수요 증가…저렴한 재사용 기술 확보해야"
20일 서울 중구에서 우주항공청은 간담회를 열고 차세대 발사체 사업 변경안을 공유했다. 박순영 우주청 재사용발사체 프로그램장이 발표를 진행하는 모습./뉴스1 ⓒ News1 윤주영 기자
(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2조 원대 예산이 투입되는 '차세대 발사체' 사업이 재사용 발사체로 변경을 추진한다. 우주항공청은 2032년까지 조기 재사용화가 이뤄져야 비용 대비 편익이 극대화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20일 우주항공청은 서울 용산구에서 간담회를 열고 사업 변경 추진을 공유했다.
우주청에 따르면 현재 우주 수송 추세는 재사용 발사체다. 일회용 발사체와 달리 전체 로켓 비용의 70%를 차지하는 1단을 회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발사 단가가 압도적으로 저렴하다.
대표적인 게 스페이스X의 팰컨9다. 스페이스X는 글로벌 시장을 독점하는 수준으로, 위성 발사 의뢰 시 약 2년을 기다려야 한다.
박재성 우주청 우주수송부문장은 "군집 위성을 활용한 차세대 위성통신 등 위성정보 기반 우주경제가 2035년엔 1366조(1조 달러) 급성장하고 있다"며 "많은 발사가 뒷받침돼야 한다. 국가 차원에서 재사용 발사 기술이 확보돼야 하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다만 일회용 발사체로 기획된 차세대 발사체를 재사용화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쉽지 않다. 2032년까지 달 착륙선도 이 발사체로 올려야 하므로 시간도 한정됐다. 재사용화 추진을 두고 논란이 인 이유다.
우주청에 따르면 재사용 발사체 개발에는 3가지 시나리오가 가능하다.
첫째는 예타 원안대로 2032년까지 차세대 발사체는 일회용으로 만들고, 2033년부터 이에 기반한 재사용 업그레이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다. 둘째는 차세대 발사체에 역추진, 자세제어 등 기술을 접목해 조기 재사용화를 추진하는 안이다. 세 번째는 차세대 발사체와는 별도의 재사용발사체 개발을 추진하는 안이다.
박순영 우주청 재사용발사체 프로그램장은 "차세대 발사체 취지는 국가의 주력 발사체다. 별개로 재사용 발사체를 만들면 향후 차세대 발사체는 사장된다"며 "세 번째 안은 채택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재사용 발사체를 만들어도 차세대 발사체에 기반할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남은 쟁점은 2032년까지 조기 재사용화를 완료할지 여부다.
박 프로그램장은 "일회용 발사체를 단계적으로 효율화하는 1안은 인프라 투자비용이 많이 든다. 1년에 추진체 탱크도 8기씩 만들어야 할 것"이라며 "조기 재사용화를 해야 정부 지출 대비 편익이 크다"고 강조했다.
이어 "조기 재사용화를 추진하면 2030년대 중반엔 재사용 체계가 확보된다"며 "3기의 발사체가 있다는 가정하에 연간 10회 발사도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다.
우주청은 조기 재사용화를 위해 약 3000억 원의 예산 증액을 기획재정부에 신청했다. 현재 예타 기관인 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으로 변경안이 넘어간 상태다.
한편 사업의 체계종합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등 업계는 빠른 사업 확정을 바라고 있다. 사업 변경으로 디자인 확정이 늦어질 거란 우려다. 기업이 제작에 착수할 수 없고 용역비 지급도 늦어진다.
우주청은 사업 적정성 재검토에 필요한 자료를 빠르게 준비, 지연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
lego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