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관계 확인 위해 수사 의뢰…의심한 것은 유감"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제21대 대통령 선거일인 3일 서울 서대문구 명지전문대 체육관에 마련된 개표소에서 사전투표 개표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2025.06.03. bluesoda@newsis.com.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수원=뉴시스] 변근아 기자 = 제21대 대통령 선거 당시 경기 용인시 성복동 사전투표소에서 회송용 봉투에 이미 기표된 투표용지가 들어있었던 사건은 수사 결과 투표사무원 등의 실수가 겹치며 발생한 것으로, 자작극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18일 용인서부경찰서 등에 따르면 21대 대선 사전투표 이튿날이던 지난달 30일 오전 7시10분께 용인 성복동 주민센터 사전투표소에서 "회송용 봉투 안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에게 기표된 투표용지가 반으로 접힌 채 나왔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관외 투표를 하던 과정에서 투표인 A씨가 본인이 받은 회송용 봉투 안에 이미 기표된 투표용지가 있다고 알린 것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사건 발생 직후 "해당 선거인이 투표소에 혼란을 부추길 목적으로 타인으로부터 기표한 투표지를 전달받아 빈 회송용 봉투에 넣은 자작극으로 의심된다"며 사실관계 확인을 위해 경찰에 수사 의뢰했다.
이후 경찰은 A씨와 투표지 발견 당일 A씨보다 먼저 투표한 관외투표자 B씨, 투표사무원, 참관인, 선관위 직원 등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A씨와 B씨 사이에는 아무런 접점이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B씨는 투표사무원으로부터 회송용 봉투를 건네받고 기표소 안으로 들어갔는데 그 안에서 회송용 봉투가 2개인 것을 알게 됐다.
투표 사무원이 투표용지와 함께 회송용 봉투를 1개를 나눠줘야 했으나 실수로 회송용 봉투 2개를 교부한 것이다.
이에 B씨는 본인의 주소 라벨이 붙어있는 회송용 봉투를 투표함에 넣고, 한 장 더 받은 봉투를 다시 투표사무원에게 반환했다.
이 과정에서 B씨 역시 실수로 기표한 투표용지를 투표함에 넣은 회송용 봉투가 아닌 반환한 봉투에 넣은 채 돌려준 것으로 파악됐다.
이후 투표사무원은 반환받은 봉투를 그대로 A씨에게 교부했고, 이 사건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
경찰은 "개표 당일 실제 B씨가 투표함에 넣었던 봉투가 빈 봉투임을 확인한 뒤 압수했다"며 "검찰과 협의 후 사건을 종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와 관련 "'기표된 투표지가 회송용 봉투에 들어가 해당 선거인에게 교부'된 일련의 과정은 전례가 없었고 실제 일어날 가능성도 희박한 상황"이라며 "투표사무원의 단순 싨구와 선거인의 착오가 결합해 발생한 우발적인 사건으로 판단된다"고 입장을 냈다.
그러면서 "사전투표 기간 부정선거 주장 단체 등으로부터 다수의 투표방해 행위가 있었고 그로 인한 투표소 등에서 혼란이 많아 명확한 사실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수사 의뢰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중앙선관위는 "투표사무원이 선거인 B씨에게 회송용 봉투를 2개 교부한 것은 단순 실수"라며 "이 사건 관련 선거인 A씨를 의심한 것에는 유감을 표한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gaga99@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