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4분기 대비 영업이익 ‘흑전’
신작성과 내년 매출 2.5조 전망
글로벌 포트폴리오 확보 집중
김택진(왼쪽)·박병무 엔씨소프트 공동대표 [온라인 설명회 영상 캡처]
엔씨소프트가 올해 1분기 적자 탈출에 성공하며 반등 신호를 알렸다. 올해에는 신규 지식재산권(IP) 등을 통해 제2의 도약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엔씨소프트는 14일 올해 1분기(연결 기준) 매출 3603억원, 영업이익 52억원, 당기순이익 375억원 등을 공시했다.
지난해 4분기 대비 매출(약 4100억원)은 약 12% 줄었으나, 같은 기간 영업손실(약 1300억원)에서 흑자로 전환했다. 단 전년 동기간 대비 매출 9%, 영업이익 80% 등 감소했다.
세부적으로 지역별 매출은 한국 2283억원, 아시아 561억원, 북미·유럽 309억원으로 나타났다. 로열티 매출은 45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8% 늘었다. 해외, 로열티 매출 비중은 전체 매출의 37%였다.
플랫폼별 매출은 모바일 게임 2063억원, PC 게임 833억원 등으로 집계됐다.
엔씨소프트는 내년 매출 목표를 최소 ‘2조원’으로 잡고 경주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레거시 IP의 지속적인 확장, 올해 하반기 출시된 신작에 역점을 기울인다. 신작 라인업 성과에 따라 엔씨소프트는 매출 최대 ‘2조5000억원’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세부적으로 ▷대규모 업데이트, 서비스 지역 확장, 스핀오프 게임 출시 등 레거시 IP 확장 ▷아이온2, LLL, 브레이커스, 타임 테이커즈 등 신규 IP 출시 본격화 등을 제시했다.
특히 지난 13일 올해 하반기 출시를 앞둔 아이온2 새로운 브랜드 아이덴티티(BI) 공개에 이어 이달 29일에는 첫 라이브 방송을 통해 게임 관련 상세 정보 등이 공개된다.
아울러 엔씨소프트는 국내외 투자를 통해 장르별 개발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글로벌 포트폴리오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 북유럽 스웨덴의 문 로버 게임즈, 동유럽 폴란드의 버추얼 알케미, 국내 미스틸게임즈, 빅게임스튜디오 등에 지분 및 판권 투자를 완료했다.
올해 5월에는 엔씨소프트의 북미 법인인 엔씨웨스트를 통해 미국 슈팅 게임 개발 스튜디오 ‘엠티베슬’에 전략적 지분 투자를 진행한 바 있다.
한편 엔씨소프트는 지난해 인원 감축 등에 이어 올해에도 비용 절감을 위한 추가적인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여기에는 해외 자회사 인원 감축 등 내용도 포함됐다.
이날 열린 ‘2025년 1분기 실적설명회 컨퍼런스콜’에서 홍원준 엔씨소프트 CFO는 “임직원 수가 지난해 대비 15% 감소해 현재 4900명 정도”라며 “올해에도 비용구조와 항목에 대해 감소를 추진하고 있고, 해외 자회사 추가 감원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병무 엔씨소프트 공동대표도 “올해부터는 타깃된 비용 및 조직 절감을 통해 레거시 IP만으로 영업이익을 만들 수 있도록 하고, 효율적인 게임 개발 및 출시 조직을 만들기 위해 ‘조직효율화’를 지속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고재우 기자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