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②
1만장 GPU 확보, 국가AI컴퓨팅센터(SPC)와 연계
SPC 참여 클라우드 기업 우선 선정
공공 기관 지정 가능성·매수청구권 포함돼 '우려'
[이데일리 임유경 기자] 정부가 신속한 국가 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연내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1만장 확보를 추진하면서 이를 국가 AI컴퓨팅센터와 연계한다. 1만장 GPU를 구매·구축한 이후, 국가 AI컴퓨팅 센터 중심으로 국내 산학연과 국가적 프로젝트 등에 전략적으로 배분한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4일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거쳐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첨단 GPU 확보 추진방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국내 AI 생태계 혁신을 목표로 총 1조4600억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고 연내 엔비디아의 GPU H200 6400장과 B200 3600장 등 총 1만장을 확보할 계획이다.
AI 인프라 확보·구축·운용은 민간 클라우드 기업(CSP)이 맡는다. 공모를 통해 선정하며, 국가 AI컴퓨팅 센터에 참여하는 CSP를 우선 선정한다는 방침이다. 확보한 GPU는 선정된 기업의 기존 데이터센터 상면 내에 순차적으로 구축하지만 향후에는 국가 AI컴퓨팅 센터 중심으로 순차 구축된 GPU를 활용하고 국내 산학연과 국가적 프로젝트 지원 등에 전략적으로 배분하겠다는 구상이다.
CSP 선정 기준은 △첨단·대규모 GPU 확보·구축 역량(재정투입 대비 컴퓨팅성능) △서비스 실행력 △ CSP의 GPU 자원 자체활용 비중과 계획 등을 중심으로 평가하기로 했다.
정부는 AI 3대 강국(AI G3) 도약을 가속화할 전초기지로 민·관 합작 특수목적법인(SPC)인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을 추진 중이다. 공공과 민간 각각 51% 대 49% 비율로 출자한다. 비수도권에 2027년까지 1엑사플롭스(EF) 이상, GPU 3만장 규모의 AI 컴퓨팅 인프라 센터 개소가 목표다. 미리 확보한 GPU를 기반으로 올해 서비스를 조기 개시할 방침이다.
국가 AI컴퓨팅 센터에 참여를 원하는 기업은 이달 19일부터 30일까지 사업참여계획서를 접수해야 한다. 이후 기업에 대해 금융 심사를 거쳐 통과한 경우 SPC 설립을 추진할 예정이다. 10월 안에 SPC 설립 완료가 목표다.
민간에서는 SPC 공모지침서에 포함된 독소조항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특히 SPC가 공공 기관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있고, 민간참여자에 공공지분 매수 의무를 부여하는 매수청구권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 부담을 느끼는 분위기다. 추후 SPC 청산시 SPC 공공투자 지분은 이자까지 얹어 민간이 챙겨줘야하는 구조라 모든 손해를 민간이 떠안아야 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SPC를 공공지분이 51%로 공공기관운영법에 따른 공공기관 지정 가능 요건에 해당하지만, 공공기관으로 지정할지 여부는 결정되지 않다”면서도 “내년 1월 기재부 공공기관운영위 심의를 통해 결정될 예정”으로 가능성을 열어뒀다.
매수청구권과 관련해서 정부는 “매수청구권은 공공 출자금 회수와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면서도 “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고 SPC가 안정적으로 운영ㆍ유지될 수 있도록 SPC에 대한 인센티브 등 종합적 지원정책 병행 추진한다”며 “정부 사업의 AI컴퓨팅 인프라 수요 연계, 정부구매 GPU 수익금 인센티브 등이 포함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가 AI컴퓨팅센터 입지를 비수도권으로 제한하고 있는 점도 지적된다. 이에 대해 정부는 “국가 AI컴퓨팅 센터는 기존 계획대로 비수도권에 단일 센터로 집적해 구축할 필요”가 있다며, 비수도권 제한 입장을 재확인했다.
임유경 (yklim01@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