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휴렛팩커드와 3천825억원 규모 계약…600PF 성능 세계 10위권 기대
거대계산 및 AI+S&T 연구 활용 예정…"내년 이름 공모"
KISTI, 휴렛팩커드와 3천825억원 규모 계약…600PF 성능 세계 10위권 기대
거대계산 및 AI+S&T 연구 활용 예정…"내년 이름 공모"
슈퍼컴 5호기와 6호기 성능 비교 [과기정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8천496장을 탑재하는 국가초고성능컴퓨터(슈퍼컴퓨터) 6호기가 5전 6기 끝에 사업자를 찾고 내년 상반기 서비스를 목표로 구축에 착수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 초고성능컴퓨터 6호기 구축을 위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과 휴렛팩커드 유한회사(HPE) 간 3천825억원 규모 계약이 12일 최종 체결됐다고 14일 밝혔다.
조달청에 따르면 이번 입찰에는 HPE와 중국 레노버가 참여했으며, 규격과 성능 검토를 거쳐 HPE가 최종 낙찰자로 선정됐다.
HPE는 슈퍼컴 전용 네트워크 기술을 자체 보유하고 있으며 지난해 11월 발표된 세계 슈퍼컴퓨터 500위 중 1위인 2.7엑사플롭스(EF, 1초당 100경 번 연산 처리)급 엘 케피탄, 2위 프론티어(미국, 2EF) 등 106개 슈퍼컴을 등재하고 있다고 과기정통부는 밝혔다.
슈퍼컴 6호기는 엔비디아의 'GH200' 등 최신 GPU 8천496장을 탑재하며 600페타플롭스(PF, 1초당 1천조 번 연산 처리)급 연산성능, 205페타바이트(PB) 저장공간, 400Gbps(초당 기가비트) 네트워크 성능을 갖출 예정이다.
예정대로 내년 구축되면 세계 10위 이내 슈퍼컴퓨터 성능을 갖출 것이란 기대다.
슈퍼컴 6호기는 대규모 고정밀 과학·공학 계산과 초거대 인공지능(AI) 분야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국가 플래그십 초고성능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AI 학습과 추론, 시뮬레이션과 대규모 계산, 초거대 AI 모델 등에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과기정통부는 슈퍼컴 6호기 구축이 완료되는 대로 연구개발(R&D)에 AI를 적용하는 'AI+S&T(Science & Technology)' 활성화 R&D 수요 등을 빠르게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대학과 정부출연연구기관에는 자원을 무료로 제공하며, 현재는 기초와 원천연구 40%, 공공·사회현안 20%, 산업활용 20% 등 배분을 전망하고 있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특히 AI 분야에는 총자원의 30%를 배분한다는 목표다.
슈퍼컴 6호기 사업은 2022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며 지난해 도입이 목표였지만, GPU 가격 폭등으로 여러 차례 유찰을 겪었다.
사업이 네 차례 유찰되자 지난해 11월 사업비를 2천929억원에서 4천483억원으로 53% 증액했고, 이번에 여섯 번째 입찰에서 계약 체결에 이르렀다.
이식 KISTI 원장은 전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슈퍼컴은 스피드 싸움인데 그간 자원이 없다 보니 국내 계산과학자들이 세계적 경쟁을 할 수 없어 미안했다"며 "여러 인프라 계획이 있지만 슈퍼컴이 가장 먼저 들어올 확률이 있는데 연구자들이 잘 사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름은 내년 초 대국민 공모 절차를 거쳐 정할 예정이라고 이 원장은 밝혔다.
전 세계적으로 초대형 슈퍼컴 도입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과기정통부도 추가 인프라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성수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1~5호기 평균 교체주기가 7.8년이었는데 외국은 통상 5년 정도"라며 "재정 여건과 맞물리겠지만 빨라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김 국장은 "국내외 GPU 수요자 급증 및 확산으로 요구되는 슈퍼컴 6호기 도입 계약이 적기에 성사됐다"며 "연구 및 산업 현장에서 기존 방식으로 풀지 못했던 난제들이 해결되고 지금까지 없던 혁신적 연구성과가 창출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shjo@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