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율과 창의의 기초연구, 책임있는 기초연구·성숙한 연구문화로 완성
- 연구윤리 자가점검 지원, 평가위원 보상강화 등 정부의 뒷받침도 중요
제4차 기초연구 전력대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과기정통부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부와 연구계가 참여해 기초연구의 질적 고도화를 위한 전략을 도출하는 ‘제4차 기초연구 전략대화’를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제4차 전략대화’에서는 이어 ‘책임있는 기초연구를 위한 성숙한 연구문화’를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기초연구는 자유롭고 창의적인 탐구를 중시하지만, 기초연구가 단순한 지식 창출을 넘어 경제·사회적 기반을 형성하는 데도 큰 기여를 하는 만큼, 연구자의 “책임”도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특히 국가 간의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만큼, 기초연구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의 근간이 된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성숙한 연구문화는 학문적 발전의 토대가 되고, 연구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하는 한편, 비판적 사고를 장려함으로써 연구자 성장 환경의 밑바탕이 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연구자들이 기초연구 수행의 당사자로서 우수한 연구성과를 창출하는 한편, 연구과제의 평가 등에 참여함으로써 기초연구 행정을 뒷받침하고, 학문 후속세대 양성을 통해 연구생태계의 발전에 기여하는 다양한 역할과 책임을 요구받고 있다는데 공감했다.
참석자들은 기초연구 질적 고도화를 위해 연구자들이 그 책임을 다하려면 정부와 연구행정 기관의 제도적 지원이 반드시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성숙한 연구문화의 정착을 위해 연구행정 기관을 중심으로 부실의심 학술지에 대한 자가점검지원시스템 도입과 연구부정·부적절 행위 등에 대한 사례 위주 교육을 더욱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기초연구 수행 연구자들의 역할과 책임.[과기정통부 제공]
또한 기초연구에 대한 평가의 질 제고를 위해 충분한 평가기간을 보장하고, 평가위원의 전문성에 걸맞는 적정한 보상체계의 도입이 시급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불필요한 행정절차 간소화와 연구비 사용기준 개선, 간접비 사용용도 제한 완화 등도 연구지원 효율성 제고를 통한 연구자의 연구전념 환경 조성에 중요한 과제로 도출했다.
우수한 기초연구 성과의 확산을 위한 후속연구 지원 강화, 연구자와 산업계와의 교류 및 협력 활성화에 대한 정부 및 행정기관의 역할 확대도 주문했다.
정부는 지난 4차례의 기초연구 전략대화에서 논의된 내용을 종합해 향후 기초연구 지원체계 개편 방향을 구체화한 ‘(가칭) 기초연구 질적 고도화를 위한 정책방향’을 수립하는 한편, 내년도 기초연구 사업 예산 편성 시에도 이를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기초연구 전략대화를 통해 기초연구 질적 고도화를 위한 전략과 과제들을 정부와 연구계가 함께 도출하고 구체화할 수 있었다”며 “정부와 민간이 함께 정책 의제를 발굴하고 형성하는 ‘기초연구 전략대화’와 같은 새로운 정책 형성 모델이 더욱 확산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