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키플랫폼] AI 특별세션 - AI 플랫폼 전쟁 속 살아남는 Vertical AI 전략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동헌 에이슬립 대표가 24일 영등포구 콘래드 서울 호텔에서 머니투데이 주최로 진행된 '2025 키플랫폼' 특별세션에서 'AI 플랫폼 전쟁 속 살아남는 Vertical AI 전략'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이기범 기자
"스타트업은 피라미다. 상어 또는 고래와 같은 빅테크들 사이에서 어떻게 살아남아야 할 것인가 끊임없이 고민해야 한다."
이동헌 에이슬립 대표는 24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머니투데이 글로벌 콘퍼런스 '2025 키플랫폼'(K.E.Y. PLATFORM 2025) AI 특별세션에서 버티컬(Vertical) AI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같이 밝혔다.
버티컬 AI는 특정 산업이나 도메인에 특화된 인공지능을 말한다. 이 대표가 이끄는 에이슬립은 수면 데이터를 전문적으로 취합 및 분석하는 버티컬 AI 헬스케어 기업(슬립테크)이다.
이동헌 대표는 "미국과 중국의 AI 빅테크들은 매년 방대한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있다"며 "빅테크들의 치킨 게임으로 새로운 AI 모델이 발표될 때마다 수많은 스타트업이 무너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글로벌 AI 상황에 대응하고자 대한민국이 가진 강점을 활용하는 것에 집중하고자 했다"며 "한국의 수많은 사람은 거의 매년 건강검진을 받고, 서울의 경우 단위면적당 병원이 세계에서 가장 많다"고 밝혔다.
이동헌 에이슬립 대표가 24일 영등포구 콘래드 서울 호텔에서 머니투데이 주최로 진행된 '2025 키플랫폼' 특별세션에서 'AI 플랫폼 전쟁 속 살아남는 Vertical AI 전략'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이기범 기자
이어 "헬스케어 관련 데이터를 효율적이고 방대하게 모을 수 있다는 말인데, 이런 게 가능한 국가는 많지 않다"며 "이에 병원 수면검사 진행 때 나온 소리 데이터를 모아 수면 상황으로 건강을 확인하는 버티컬 AI 구축에 나섰다"고 했다.
누구나 얻을 수 있는 데이터가 아닌 시간과 비용을 들여 얻는 제한적 데이터로 버티컬 AI 기술을 구현하는 게 경쟁력을 키우는 방법이라고 강조한 이 대표는 "또 하나 중요한 요소는 AI 기술을 리얼 월드, 우리의 삶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다"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단순하게 데이터만 보여주는 것은 의미 없고, 리얼 월드와 연결해 고객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게 핵심"이라며 "그게 돼야 산업으로 연계될 수 있고 글로벌 AI 시장에서 경쟁이 가능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 대표는 버티컬 AI 선도 기업으로 일론 머스크의 테슬라를 꼽기도 했다. 그는 "테슬라는 시장에 전기자동차를 배급하는 데 앞장섰고, 도로에 뿌려진 전기차를 활용해 자율주행 알고리즘을 만들었다"며 "바로 이 버티컬 AI 기술로 테슬라는 운행 데이터 분야에서 절대 강자가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제 생각에 우리나라는 K-콘텐츠, 방산, 반도체, 헬스케어 등 분야에서 버티컬 AI 활용 강점을 가지고 있다"며 "감히 제언해 보자면 앞서 말한 영역에서 경쟁력을 높여 글로벌 빅테크들과 협력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채태병 기자 ctb@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