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 파티 선호하는 게 아니라면 굳이 뽑을 필요 없다
호요버스 젠레스 존 제로 신규 에이전트 '비비안'은 이상 파티라면 조합을 가리지 않고 훌륭한 성능을 자랑하는 오프 필드 이상 캐릭터다.
비비안은 모킹버드 진영의 에테르 속성 이상 에이전트다. 매력적인 캐릭터 디자인, 파에톤의 극성 팬이라는 귀한 캐릭터성, 드문 에테르 속성까지 합쳐 비비안의 출시만을 기다리던 로프꾼이 많았다.
오프 필드 이상이라면 버니스를 떠올리기 마련인데, 비비안 역시 최신 에이전트답게 편의성과 딜은 상승됐지만 기본적인 매커니즘은 동일하다. 스택 쌓으러 나와서 강화 특수 스킬, 궁극기 사용하고 다시 들어간다. 괜히 '럭키 에테르 버니스'라고 불리는 것이 아니다.
난개라는 특수 매커니즘을 들고 나왔는데 속성 이상 피해를 1회 결산한다. 즉 난개 딜을 상승시키는 이상 마스터리 위주로 스탯을 챙겨야 한다는 의미다. 버니스처럼 기존 이상 캐릭터들, 특히 극성 혼돈을 터트리는 야나기와 합이 잘 맞는다.
현재로서는 이상 파티를 선호하지 않는다면 굳이 뽑을 필요는 없다. 특히 메인 온필드 이상 딜러가 없다면 더더욱 그렇다. 다만 의현이 어떤 속성과 매커니즘을 들고 나오느냐에 따라 평이 갈릴 수 있다.
■ 비비안 세팅 가이드
- 예쁘지만 이상 파티 선호도가 높지 않다면 굳이 뽑을 필요는 없다
◎ 특징 및 운영
비비안은 스택을 채워서 오프 필드에서 딜을 넣는 이상 캐릭터다. 스택은 크게 비상의 깃과 비상의 깃을 소모해서 채우는 수호의 깃으로 나뉘는데, 사실 비상의 깃 채우고 교대해도 알아서 수호의 깃을 채워 크게 신경 쓸 필요는 없다.
비상의 깃은 강화 특수 스킬, 콤보 스킬, 궁극기로 채울 수 있다. 대부분은 이 방식으로 스택을 채우겠지만 조합에 따라 스택이 부족한 경우가 생긴다. 특히 이상을 펑펑 터트리는 야나기와 조합할 경우 그렇다.
스택 관리를 위해 아스트라 빠른 지원과 패링을 잘 활용해야 한다. 온필드에서는 평타 4타 이후 비비안이 공중에 떠오르는데, 이 때 평타를 사용하면 스택이 찬다. 강화 특수 스킬 시전 중 회피를 홀드해도 공중에 떠오르는데, 이 때 평타를 치는 방식으로도 스택을 채울 수 있다.
◎ 돌파
명함만으로도 완성된 캐릭터로, 굳이 돌파할 필요는 없다. 1돌파 기능은 스택 추가 및 속성 이상, 혼란 피해가 증가하는데, 사이클 관리가 편해지고 딜이 상승하는 돌파다.
2돌파는 주력 매커니즘인 난개 딜 130% 상승 및 15% 모든 저항 무시로 확실하게 딜 상승 효과를 본다. 돌파가 굳이 필요 없지만 사랑한다면 1돌파나 2돌파 중 선택하는 편이고, 비비안을 주력으로 사용한다면 2돌파가 낫다. 확실하게 딜상승 체감이 된다.
- 2돌파 딜 상승 체감은 되긴 하는데 추천하지는 않는다
◎ 엔진
전용 엔진: 별빛 꿈을 누비는 새
S급 대체 엔진: 감입 컴파일러
A급 대체 엔진: 쌍둥이의 눈물, 감전 립글로스
비비안은 이상 마스터리가 굉장히 중요한 캐릭터로, 전용 엔진 '별빛 꿈을 누비는 새' 역시 이상 마스터리 위주의 옵션이다.
A급에서 제작 엔진인 쌍둥이의 눈물이 이상 마스터리 위주라 효과를 매우 잘 받는 편이다. 감입 컴파일러도 나쁘지 않지만, 쌍둥이의 눈물 효율이 더 좋다.
◎ 디스크 세팅
4세트: 파에톤의 노래
2세트: 자유의 블루스, 스윙 재즈
4번: 이상 마스터리
5번: 공격력, 관통률, 에테르 피해 증가
6번: 이상 마스터리, 에너지 회복
파에톤의 노래는 이상 마스터리와 오프 필드 에테르 피해 증가 효과로 비비안과 잘 맞는다. 2세트는 보통 이상 마스터리 추가를 위해 자유의 블루스나 카오스 재즈같은 이상 마스터리 세트를 사용하는 편이다.
2세트에서 카오스 메탈이나 고요 속의 별 등 에테르 피해 증가, 공격력 옵션을 챙기는 경우도 있다. 간혹 야나기와 사용할 경우 스택 이슈로 에너지 회복 속도가 상승하는 스윙 재즈를 채용하기도 한다.
5번은 부옵션이 잘 붙은 것을 사용하면 된다. 부옵션 순위는 이상 마스터리가 1순위, 공격력이 2순위다. 6번 디스크는 이상 마스터리와 에너지 회복으로 갈린다. 파티 조합에 따라 최적 세팅이 갈릴 수 있다.
- 야나기, 미야비 등 메인 이상 딜러를 보조하는 역할이다
◎ 조합
① 비비안 + 야나기 + 아스트라
야나기의 극성 혼돈 매커니즘과 비비안이 굉장히 잘 어울린다. 쌓인 스택을 난개로 터는 속도가 굉장히 빨라, 야나기와 사용할 경우 에너지 회복 세팅을 사용할 정도다.
아스트라는 빠른 지원을 통한 비비안의 스택 쌓기 외에도 비비안과 속성이 겹쳐 에테르 이상을 터트리기에 용이하다. 향후 메인 온필드 딜러로 사용할 에테르 이상 캐릭터가 출시된다면 비비안과 영혼의 단짝이 될 수도 있다.
② 비비안 + 미야비 + 아스트라
강공의 탈을 쓰긴 했지만 어쨌든 이상인 미야비와 비비안 역시 괜찮은 조합이다. 미야비를 사용하고 있지만 야나기가 없다면 채용해볼 만 하다. 미야비의 서리열은 특수 속성이나 서리열이 터질 때 함께 터지는 빙결에는 비비안이 반응하기 때문에 문제는 없다.
③ 비비안 + 제인 + 아스트라
제인 역시 온필드 이상으로 오프 필드 이상인 비비안과 합이 잘 맞는다. 제인 외에도 그레이스, 파이퍼 등 어떤 이상 캐릭터와도 잘 어울린다. 특히 파이퍼는 A급이라 상대적으로 입수가 쉽기 때문에 캐릭터 풀이 좁다면 추천하는 조합이다.
suminh@gametoc.co.kr
Copyright © 게임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