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K-FAST(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의 글로벌 확산을 위한 민·관 협업의 구심점인 '글로벌 K-FAST 얼라이언스'가 출범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는 23일 서울 코엑스 스튜디오159에서 '글로벌 K-FAST 얼라이언스' 출범식을 개최했다.
'글로벌 K-FAST 얼라이언스'는 글로벌 미디어 산업에서 급성장하는 FAST 서비스 시장에서 우리 기업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조성됐다. 삼성전자, LG전자, KBS, MBC, SBS, CJ ENM, JTBC, 뉴아이디, 스마트미디어렙,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허드슨AI, 이스트소프트, 인쇼츠, 도스트11, K엔터테크허브,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가 참가한다.
글로벌 K-FAST 얼라이언스 운영 체계
얼라이언스는 민간 의장인 김성철 고려대 미디어대학원 교수를 중심으로 K-FAST의 글로벌 진출 산업 생태계와 연관된 기업·기관이면 누구나 가입하여 활동할 수 있는 개방형 협의체로 운영된다.
참여 기업·기관은 향후 △글로벌 진출을 위한 K-미디어·콘텐츠 발굴 및 AI 활용 현지화 △ K-FAST 해외서비스 고도화 및 K-채널·콘텐츠 마케팅 △ 참여기업 간 협업 프로젝트 수행 및 FAST 기술 실증 등 공동협력 △ 글로벌 FAST 동향정보 교류 및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제도 마련 등을 위한 협력을 지속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얼라이언스 운영 사무국인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와 함께 현지 시청장벽 극복을 위한 AI 더빙 특화 K미디어 현지화 지원, 해외 시청 데이터에 기반한 광고·커머스 연계 등 융합 프로젝트 발굴, 국제 FAST 컨퍼런스 개최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글로벌 K-FAST 얼라이언스 출범은 우리가 지닌 TV제조, 미디어·콘텐츠, AI 역량을 결집하여 세계에서 통할 수 있는 K-미디어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기 위한 실질적인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과기정통부는 얼라이언스를 통해 국내 미디어 산업이 새로운 시장을 선도하고, 글로벌 유통 주도권을 확보해 나갈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김성철 교수는 “FAST는 C(콘텐츠)·P(플랫폼)·N(네트워크)·D(디바이스)가 융합되는 생태계로서 K-FAST의 글로벌 확산을 위해서는 민관협력 체계 구축이 필수적”이라며 “얼라이언스를 구심점으로 협력 채널 구축, 공동 프로젝트 추진 등 실질적인 협업을 통해 우리나라가 글로벌 FAST 시장의 선도자로 도약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혜미 기자 hyeming@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