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연 전문가, 딥테크 창업·스케일업 혁신 생태계 구축
대학, 출연연이 딥테크 창업 플랫폼 役..정부 협업 확대
17일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기술경영경제학회 특별 세미나'에서 산학연 전문가들이 패널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17일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기술경영경제학회 특별 세미나'에서 산학연 전문가들이 패널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17일 열린 기술경영경제학회 특별 세미나에서 산학연 전문가들은 딥테크 창업과 스케일업을 위한 혁신 생태계 구축과 창업문화 확산이 필요하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이날 주제발표에 이어 열린 패널 토론에서 손병호 기술경영경제학회장은 "양자, AI, 첨단바이오 등 국가전략기술 분야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선 딥테크 창업 촉진과 스케일업이 핵심"이라며 "정부 R&D 성과가 딥테크 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기술사업화 지원을 확대하고, 규제의 과감한 혁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손 회장은 이어 "딥테크 기업의 스케일업을 위한 민관 공동 투자 시스템과 같은 성장 인프라 구축과 함께 딥테크 창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확산도 중요하다"고 피력했다.
노민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박사는 정부의 다양한 정책 추진을 주문했다. 노 박사는 "출연, 출자, 융자 등 정부의 다양한 정책 수단을 적절하게 혼용하는 전략으로 딥테크 스타트업을 지원해야 한다"면서 "과기정통부, 중기부, 산업부 등 각 부처 사업별로 강점과 차별성이 존재하는 만큼 정책 이어달리기 차원에서 부처 간 연계와 협업 강화를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노 박사는 지난해 국내 도입된 '성과조건부주식제도'에 대한 세제지원을 통해 스톡옵션을 단점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딥테크에 우수 인재 유입을 유도해야 한다고도 제안했다.
안준모 고려대 교수는 '딥테크 전용 스케일업 R&D 자금' 필요성을 피력했다. 안 교수는 "기존 R&D 지원이 선형적이라면, 딥테크는 이와 차별화된 전용 R&D 자금을 통해 빠르게 기술사업화할 수 있는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자금 지원이 중요하다"며 "한 명의 아이를 키우는데 온 마을이 필요한 것처럼 딥테크 스타트업 육성을 위해선 연예인 기획사 수준의 전방위적인 정책지원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딥테크 특성상 수월성 중심의 인재 육성과 실효성 있는 규제혁신도 필요하다고 봤다. 그는 "규제, 진흥 등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균형 잡힌 규제철학을 갖고 딥테크 스타트업의 창업과 스케일업을 가로막는 걸림돌을 해소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대학과 출연연이 '딥테크 창업 플랫폼'으로 역할을 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정태현 한양대 교수는 "대학과 출연연이 인력과 기술을 활용하는 것에 더해 혁신가·창업가 DNA를 가진 새로운 연구자를 양성해야 한다"며 "이들이 대학·출연연에서 10년 후를 내다보고 딥테크 창업에 뛰어들 수 있게 관련 제도와 문화를 쇄신하는 정책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무엇보다 대학·출연연 연구자들과 사업화 전문기관을 늘리고, 창업 친화적 문화 조성으로 우수한 젊은 인재들에게 창업 DNA를 심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5000억원 규모의 치매 후보물질을 해외 제약사에 이전한 조성진 큐어버스 대표는 지속가능한 딥테크 지원 전략을 제시했다.
조 대표는 "많은 딥테크 스타트업이 우수한 기술을 보유했음에도 전략적 시각과 전문적 역량 부족으로 투자 유치에 실패하거나 지속가능한 기술사업화를 이뤄내지 못하고 있다"며 "특구펀드 운용의 유연성과 포토폴리오 투자 강화를 통해 성장 단계별로 스타트업이 지속 성장할 수 있는 지원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제안했다. 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