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연-현대컨소시엄, 美 미주리대 연구로 설계 계약
해외 연구로 수출경험 및 연구로 핵연료 기술 인정 결과
우리나라가 미국 미주리대학의 차세대 연구용원자로 사업의 초기 설계 사업자로 최종 선정됐다. 사진은 원자력연 내 다목적 연구용원자로 '하나로' 모습. 원자력연 제공
우리나라가 원자력 종주국인 미국에 '연구용원자로(연구로)' 기술 수출에 성공했다. 66년 전 원자력 기술을 이전받은 우리나라가 미국에 역수출하는 국내 원자력 분야에 새 역사를 쓰게 됐다. 앞으로 세계 연구로 시장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한층 강화해 추가 수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7일 한국원자력연구원·현대엔지니어링·MPR 컨소시엄이 미국 미주리대학교가 국제 경쟁입찰로 발주한 '미주리대 차세대 연구용원자로 사업'의 초기 설계 사업자로 최종 선정,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수출은 1959년 7월 미국으로부터 연구용원자로 1호기(트리가마크-2)를 도입하면서 시작된 우리나라 원자력 기술이 66년 만에 역수출하는 쾌거로 세계 최고 수준의 원자력 기술 역량을 보유했음을 다시한번 보여줬다는 데 의미가 크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말레이시아, 요르단, 네덜란드 등의 연구로 관련 사업을 꾸준히 수주하면서 기술경쟁력을 키워 왔다. 특히 2009년에는 요르단 연구로 설계 및 건설사업을 일괄 수주하며 연구로 시장의 새로운 기술 강국으로 올라섰다.
연구용원자로는 핵연료의 핵분열로 생성된 열에너지를 이용하는 발전용 원자로와 달리 핵분열 때 나오는 중성자와 방사선을 이용하는 원자로다. 전기를 생산하지 않고, 기초과학 연구부터 첨단 산업기술 개발에 이르기까지 널리 쓰이는 대형 원자력 시설이다.
이 사업은 열출력 20㎿급의 연구로를 새로 건설하기 위한 설계로, 원자력연 컨소시엄은 사전자격심사(PQ)와 입찰제안서 평가 등을 거쳐 지난해 7월 최종협상계약자로 선정된 이후 1단계 계약을 체결하게 됐다.
이런 성과는 연구로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바탕으로 한 기술개발 및 수출 노력, 원자력 사업 경험이 많은 현대엔지니어링 및 미국기업(MPR)과의 긴밀한 협력이 좋은 결과로 이어졌기 때문이라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특히 원자력연이 자체 개발한 세계 유일의 고성능 연구로 핵연료 기술과 해외 연구로 사업의 성공적 수행 경험도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다.
원자력연은 1995년 열출력 30㎿급 다목적 연구용원자로 '하나로'를 자력 기술로 설계·건조·운전하며 세계 최고 기술력과 운전 역량을 확보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전 세계 연구로가 노후화되고, 방사성동위원소 생산수요 증가에 따라 연구로 수출 시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연구로 수출과 해외 진출을 가속화하는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미국 미주리대 연구로 설계 사업 수주는 과거 우리나라에 도움을 줬던 미국에 역으로 연구로 설계를 수출하는 우리나라 원자력의 새로운 성공 역사"라며 "앞으로 정부는 글로벌 원자력 기술을 선도하고, 미래성장동력으로 발전시켜 국민의 삶을 풍요롭게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주한규 원자력연 원장은 "이번 사업 수주는 세계 유일의 고성능 연구로 핵연료 기술과 높은 설계 능력 등 연구원이 쌓아온 독보적인 기술력과 민간의 해외사업 역량이 결합돼 만든 또 하나의 이정표"라고 평가했다. 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